더불어민주당 고민정 의원이 지난 17일 페이스북에 "정부가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 두기를 1단계에서 2단계로 격상한 연휴 첫날, 광화문에선 불법 폭력 시위가 벌어졌다"며 "방역 수칙은 지켜지지 않았고 집단감염이 시작됐다"고 했다. 최근 집단감염 원인을 15일 광화문 집회에서 찾은 것이다.

그러나 의료계에선 최근 코로나 확산세가 15일 광화문 집회와 관련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평균 5일이 넘는 잠복기를 고려하면 이전에 감염됐던 사람들이 확진되는 것이란 주장이다.

엄창섭 고려대 의대(미세구조생물학) 교수는 18일 페이스북에 '잠복기를 고려하면,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주범은 15일 집회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학계에서 인정하는 공식적인 코로나 잠복기는 평균 5.2일"이라며 "확진자가 8월 14일부터 증가하기 시작했으니 이번 증가의 원인이 된 일들은 8월 14일부터 적어도 5일 이전인 8월 9일로부터 (최장 장복기인) 14일 전인 7월 31일 사이에 발생했다고 봐야 설명이 된다"고 했다.

마상혁 경남도의사회 감염병대책위원장(창원 파티마병원 소아청소년과)도 "잠복기를 고려하면 15일 광복절 집회와는 연관이 없다. 그런데 방역 당국은 광복절 집회에 참가한 사람들부터 찾고 있다"고 했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실외는 실내보다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이 현저히 낮다"며 "15일 집회엔 비까지 왔기 때문에 습도가 높아 바이러스 전염률이 더 떨어진다"고 했다. 김 교수는 정부·여당이 최근 집회 참가자를 겨냥해 '전원 자진 검사 받으라'고 압박하는 것도 '불필요한 행정'이라고 했다.

국내 감염 코로나 확진자는 14일까지 50명 아래였지만 15일 155명, 16일 267명으로 폭증했다. 마상혁 교수는 "휴가철이라 왕래가 증가된 것이 감염 확산이 벌어진 가장 중요한 이유일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