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이 13일 새로운 정강·정책 1호로 '기본소득'을 정해 발표했다. 새 정강·정책에는 '약자와의 동행, 경제 민주화' '노동자 권리 보장'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의 내용도 담겼다. 통합당은 "가진 자를 대변한다는 기존의 통합당 이미지를 벗고, 사회적 약자·청년·중도층으로 외연을 확장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이라고 했다.
통합당은 10개 분야 33개 정책이 담긴 새 정강·정책에서 "국가는 국민 개인이 기본소득을 통해 안정적이고 자유로운 삶을 영위하도록 적극적으로 뒷받침한다"고 적었다.
김종인 비대위원장이 취임 후 처음 제기한 문제가 기본소득이었다. 기본소득은 국가가 사회적 약자에게 일정 수준의 소득을 보장하는 일종의 사회 안전망으로 평가받지만, 기존 복지 체계와의 중복이나 재정(財政) 부족, 포퓰리즘 논란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통합당의 전신인 새누리당이 2012년 대선 때 내걸었던 '경제 민주화'와 함께 소상공인·자영업자 보호, 청년 고용 증대 등의 내용도 담겼다.
통합당은 '금융 규제 완화 등을 통한 내 집 마련 기회 제공' '민정·인사수석실 폐지 등 대통령 권력 축소' '권력형 범죄·권력의 언론 개입 범죄의 공소시효 폐지' '자녀 입시 비리 등 부모 찬스 특혜 타파' 등도 정강·정책에 명시했다. 현재 문제가 되는 정부·여당의 정책을 비판하며 내놓은 정책이다. 이 밖에 '국회의원 4연임 제한' '기초의회와 광역의회 통·폐합' 등의 내용도 담았다.
통합당은 이날 새 당명(黨名)을 위한 대국민 공모(이달 21일까지)도 시작했다. 이후 여론 조사와 당내 의견 수립 절차를 거쳐 오는 31일 새 당명을 공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