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채널A 기자 강요미수 의혹 사건’을 수사하는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에서 검사 2명을 제외한 것으로 31일 알려졌다. 검찰 안팎에선 수사 방향에 부정적 의견을 낸 검사들을 팀에서 제외한 것이란 뒷말이 나온다.
서울중앙지검은 최근 천재인, 방준성 검사를 원대 복귀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천 검사와 방 검사는 본래 소속이던 서울중앙지검 반부패2부와 형사6부로 각각 복귀할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이들을 팀에서 제외하며 더 이상 추가 수집할 증거 등이 없다는 등 이유를 댔다고 한다. 한 현직 검사는 “앞으로 수사할 내용이 없다는 것을 자인하는 코미디 같은 이야기”라며 “실제론 수사 방향에 반대하는 검사를 돌려보낸 것”이라고 했다.
실제 수사팀이 지난 15일 이동재 전 채널A 기자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할 때, 수사 검사 9명 중 구속영장 청구에 반대하는 의견이 6명으로 찬성(3명)을 압도했다. 수사팀은 이를 그대로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에 보고했지만 이 지검장이 영장 청구를 강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검사장과 이 전 기자가 2월 13일 부산고검에서 나눈 대화인 ‘부산 녹취록’을 근거로 두 사람을 공범으로 보는 것에 대해서도 수사팀 대부분이 부정적 의견을 보였다고 한다. 29일 한 검사장 휴대전화 유심(USIM) 압수 수색 때 수사팀장인 정진웅 형사1부 부장검사가 나서 육탄전을 벌인 상황을 두고도, 압수 수색에 대한 반대 의견이 나와 어쩔 수 없이 수사팀장이 나선 것이란 얘기가 나온다.
검찰 안팎에선 ‘수사팀이 늪에 빠진 것 같다’는 뒷말도 나온다. 지난 24일 검찰 수사심의위원회가 한 검사장에 대해 '수사 중단 및 불기소'를 권고한데다, 서울중앙지검 간부가 연루된 KBS의 부산 녹취록 오보 논란이 이어지면서 검찰 내부에서도 수사팀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더욱이 29일 압수 수색 집행 과정에서 정 부장검사가 한 검사장에게 폭행에 가까운 물리력을 행사하는 초유의 일이 벌어지면서 평검사들도 “비상식적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수사팀은 압수 수색한 한 검사장의 휴대전화 유심(USIM) 카드를 공기계로 접속한 뒤, 메신저 비밀번호를 바꾸는 방식으로 카카오톡에 접속해 감청(監聽) 등 위법을 저질렀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이 사건에는 호남 출신 검사들이 대거 배치됐다. 15년 만의 지휘권 발동으로 추미애 법무부 장관에게서 수사 전권을 위임받은 이성윤(전북 고창) 서울중앙지검장을 필두로 지휘 라인은 이정현(전남 나주) 1차장, 정진웅(전남 고흥) 형사1부장으로 이어졌다. 여기에 이 지검장이 추가로 투입하거나 수사에 관여하도록 한 신성식(전남 순천) 3차장, 전준철(전남 보성) 반부패2부장, 정광수(전북 전주) 조사부 부부장도 호남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