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21일(현지 시각) 미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을 72시간 이내에 철수하라고 중국에 요구했다. 미 국무부는 "미국의 지식재산권과 개인 정보를 보호하려는 조치"라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는 "일방적인 정치적 도발"이라며 "철회하지 않으면 대응 조치를 하겠다"고 했다. 무역 분쟁, 코로나 사태 등으로 이어져 왔던 미·중 갈등이 깊어지면서 외교 공관 폐쇄라는 극단적인 조치까지 나온 것이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2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미국이 24일 오후 4시까지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의 모든 활동을 중단하고 모든 인원은 떠나라고 요구했다는데 사실이냐'는 중국 매체의 질문을 받고 "21일 미국이 갑작스레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에 대해 활동 중단을 요구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제 관계와 중·미 사이의 양자 영사(領事) 협정 등 국제법을 심각하게 위반하는 조치"라며 "미국이 즉시 잘못된 결정을 취소하지 않을 경우 중국은 합법적이고 필요한 대응을 하겠다"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은 중국이 우한(武漢) 주재 미국 총영사관을 폐쇄하고 외교관을 추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모건 오테이거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에게 보낸 이메일 입장문에서 "우리(미국)는 미국의 지식재산권과 미국인들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 폐쇄를 명령했다"고 밝혔다. 중국 총영사관이 미국 내에서 불법적인 정보 수집을 했다는 취지로 해석되는 발언이다. 다만 구체적으로 어떤 행위가 있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이날 "중국의 유전자와 외교 전통에 (상대국에 대한) 침투, 간섭은 없다" "(오히려) 중국 주재 미국 대사관 인원들이 오랫동안 (중국에 대한) 침투와 간섭 활동을 해왔다"고 밝힌 것도 미국이 중국 총영사관의 정보 수집 활동을 문제 삼았으리라는 관측을 뒷받침했다.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은 1979년 미·중 수교 이후 미국에 처음 설치된 중국 영사관이다. 텍사스, 플로리다 등 미국 중·남부 8주와 미국령 푸에르토리코를 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