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이은 투자 원금 상환 실패로 금융업계 '지뢰밭'이 된 사모펀드 1만여 개에 대해 금융 당국이 일제 점검에 나선다.

28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이르면 이번 주 중 금융위와 금융감독원은 한국거래소·예금보험공사 등 유관 기관들과 사모펀드 전수(全數)조사 방식·일정 등을 논의하는 합동점검회의를 개최한다. 사모펀드 1만여 개와 운용사 230여 개가 조사 대상이 될 전망이다.

자산운용사, 판매사, 주식·채권 등 유가증권 보관과 매매를 담당하는 수탁사, 펀드 기준가·수익률을 산정하는 사무관리사의 자산·서류 내역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4자 교차 점검이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현행법상 운용사가 수탁사에 내린 운용 지시와 사무관리사에 전달한 운용 내역이 달라도 이를 확인할 방법이 없다. 이런 규제의 허점을 틈타 옵티머스운용의 경우 서류를 위·변조하는 사기 행각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4자 교차 점검에서 불일치가 발견되거나 환매 중단 개연성이 큰 것으로 인정되는 '요주의' 운용사에 대해선 현장 검사가 진행된다. 그러나 유관 기관들의 지원을 받더라도 사모펀드 전수조사에 3~4년이 걸릴 전망이다.

사기 혐의 주도 세력들이 구속된 라임과 달리 최근 문제가 된 옵티머스의 경우 금감원 검사를 받고 있고, 뚜렷한 사기 정황이 나오는 대로 검찰 통보가 이뤄질 예정이다. 금감원은 옵티머스 운용의 사무관리사인 한국예탁결제원과 가장 많은 펀드를 판매한 NH투자증권에 대해 현장 검사도 진행한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최근 "자본시장의 신뢰 회복 차원에서 잘못된 부분이 있는지 전체적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다"며 사모펀드 전수조사 의지를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