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이 오는 22일 구광모 LG그룹 회장을 만난다. 정 부회장은 이날 LG화학의 핵심 생산 기지인 충북 청주시 오창공장의 배터리 생산라인을 둘러본뒤, LG화학의 배터리 기술 현황을 듣고 미래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지난달 13일 정의선 부회장이 삼성SDI 천안사업장을 방문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만난지 한달여만으로, 배터리 기업들의 ‘현대차 모시기’가 점점 더 치열해지는 양상이다.

22일 회동은 LG그룹측에서 먼저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삼성SDI측이 정 부회장에게 미래 배터리인 ‘전고체 배터리’ 기술을 소개하면서, 삼성SDI의 경쟁사이자 현대차의 최대 배터리 공급사인 LG화학은 상당히 긴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아직까지 삼성은 현대차에 배터리를 공급하지 않고 있지만, 향후 차세대 배터리 공급에 나설 가능성이 대두됐기 때문이다. 지난 1분기 전세계 배터리 시장 1위에 오른 LG화학 입장에선, 글로벌 5위 완성차업체이자, 친환경차 세계 점유율 2위인 현대·기아차를 경쟁사에 빼앗길 수 없는 입장이다.

지난해 문재인대통령이 주관한 한 신년회에 참석한 정의선 부회장(왼쪽), 구광모 LG그룹 회장(가운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오른쪽 뒤).

현대차는 내년에만 4~5개의 전기차 신차를 출시하기로 계획하고 있다. 특히 현대차 최초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기반으로 만든 전기차를 시작으로, 향후 글로벌 전기차 판매를 공격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현대·기아차는 지난달 기준, 전세계 친환경차(전기차·하이브리드차·수소차 등) 누적 판매량이 154만대로, 친환경차 시장 점유율이 도요타에 이어 세계 2위다. 특히 현대차가 전기차를 대량생산하기 위해선 안정적으로 배터리를 공급 받을 수 있는 ‘합작공장’이 필수인데, 현대차는 어느 기업과 합작 공장을 얼마 규모로 지을지 계속 저울질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정의선 부회장은 조만간 최태원 SK그룹 회장도 만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SK이노베이션 역시 현대차에 배터리를 공급하면서 현대차가 발주하는 차세대 전기차 수주전에 공격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현대차가 내년에 출시하는 차세대 전기차는 모두 SK이노베이션이 입찰을 따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신년회에서 만난 이재용 부회장과 정의선 부회장.

글로벌 배터리 선두주자인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3사가 업계 ‘큰 손’인 정의선 모시기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 입장에선 3사의 기술력을 탐색하고 미래차 개발을 구상하는 한편, 3사를 경쟁시켜 배터리 단가를 낮출 수 있어 좋을 것”이라며 “전기차의 가장 중요한 부품이 배터리로 배터리 기업들의 위상이 높긴 하지만, 아직까지는 역시 완성차업체가 ‘갑’이라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