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중국 내 신장위구르족(이슬람교를 믿는 중국 소수 민족)의 인권을 탄압하는 중국 관리를 제재하는 내용의 ‘2020 위구르 인권정책법’(위구르 인권법)을 시행하기로 한 데 대해 중국은 18일 “법 시행을 중단하지 않으면 반드시 보복하겠다”고 밝혔다
중국 관영 매체에 따르면 중국 외교부는 이날 미국의 위구르 인권법에 대해 “중국의 신장 정책을 악독하게 공격하고 국제법과 국제관계 기본원칙을 짓밟는 행위로 중국 내정에 대한 거친 간섭”이라며 “중국 정부와 중국 인민은 이에 대해 강력히 분노하고 반대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드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17일(현지시각) 위구르 인권법에 서명했다 로이터통신 등이 보도했다. 신장 위구르 지역에서 위구르족과 다른 소수 민족을 감시하거나 구금하는 데 관여한 중국 당국자에 대해 미국 방문 금지, 미국 내 자산 동결 등으로 제재를 하는 내용이다. 또 미 행정부가 불법 구금, 실종 등 신장 위구르 지역의 인권 탄압에 책임 있는 사람의 신원을 확인해 의회에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중국 공산당 정치국 위원(총 25명)인 천취안궈 신장위구르자치구 당서기가 1순위로 거론된다.
미국은 중국이 위구르족에 대해 문화·종교적 자유를 억업하고 재교육이라는 명목으로 100만명 이상을 강제 구금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중국 정부는 종교·인종 등의 문제가 아니라 테러리즘과 안보 사안이며, 미국 등 서방이 ‘강제 수용소’라고 주장하는 시설도 직업교육시설일뿐이라는 입장이다
이번 법안 서명은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 양제츠 중국 공산당 외교담당 정치국 위원이 미국 하와이에서 회담하고 있는 가운데 이뤄졌다. 중국 인민일보는 18일 미·중 외교 회담 소식을 전하며 “중·미 관계와 양측이 관심 있는 국제, 지역 문제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했다”며 “양측은 각자의 입장을 충분히 설명하고 이번 회담이 건설적 대화였다고 인식했다”고 보도했다. ‘건설적 대화’는 통상 회담에서 견해차가 컸음을 암시하는 표현이다. 양측은 계속 소통하자고 했지만 회의 분위기 자체는 냉랭했던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