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의 소녀상' 작가인 김운성씨 부부가 소녀상에 대한 상표권 등록을 시도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정의기억연대 이사인 김씨는 2016년 특허청에 평화의 소녀상 문구(文句) 도안을 제출하며 소녀상 조각 등을 등록 제품으로 신청했다는 것이다.
상표권은 판매 상품에 붙이는 상표를 독점하는 권리다. 한마디로 '평화의 소녀상' 상표는 자기들만 쓸 수 있고 관련 상품들을 팔아 돈벌이를 하겠다고 한 것이다. 특허청은 "공익에 맞지 않는다" "도안도 특이하지 않다"며 신청을 기각했다. 김씨 부부는 그간 100개 가까운 소녀상을 만들어 30억 넘는 매출을 올렸다. 이미 큰돈을 번 것이다. 그러면서도 다른 작가들이 만든 소녀상에 대해서는 '저작권 위반'이라며 폐기 처분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행태는 정의연이 '위안부 운동'을 독점하며 자기들 잇속을 챙긴 의혹의 연장선상에 있다. 정의연 위안부 쉼터는 할머니들이 아니라 윤미향 의원 지인들과 일부 좌파 단체들 펜션으로 사용됐다. 윤 의원 부친이 쉼터에 상주하며 월급을 타갔고, 남편은 정의연 일감을 받아갔다. 할머니 조의금은 정의연과 가까운 친북·반미 단체들이 나눠가졌다. 자살한 쉼터 소장이 할머니 통장에 손을 댔다는 의혹까지 제기됐다. 윤 의원 등 정의연 이사들은 여성가족부의 보조금 지원 사업 심의를 하면서 16억여원을 정의연에 '셀프 지원'했다고 한다. 국민 세금까지 정의연의 쌈짓돈이었던 셈이다. 여가부는 이 사실을 숨기려고 국회의 자료 제출을 거부하기도 했다.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고통이 특정 세력의 주머니를 부풀리는 데 이용됐다면 용납할 수 없는 일이다. 모든 의혹을 철저히 파헤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