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호주에 대해 전방위 제재책을 내놓고 있다. 육류·곡물·관광·교육 등 호주의 대표적 외화벌이 상품을 겨냥하고 있다. 호주가 코로나 기원에 대한 국제 조사를 요구하는 등 사실상 미국 편에 선 것에 대한 보복이라는 관측이 많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중국의 대호주 정책을 '호주 때리기(snubbing)'라고 했다.

중국 교육부는 9일 자국 학생들에게 "호주 여러 곳에서 아시아인을 상대로 한 인종 차별 사건이 발생하고 있다"며 호주 유학 시 주의하라고 했다. 중국 교육부가 올 들어 발령한 첫 유학 경보다. 호주 대학은 전체 외국인 유학생의 38%가 중국 학생이다. 호주 시드니모닝헤럴드는 10일 "중국 교육부 발표 후 주요 대학 총장들이 한밤중 대책 회의를 열었다"며 "중국이 또다시 호주의 주요 산업에 한 방을 날렸다"고 했다.

앞서 중국 문화관광부는 지난 5일 "호주 내에서 아시아인을 상대로 한 인종 차별 사건이 증가하고 있다"며 자국민에게 호주 여행을 가지 말라고 권고했다. 중국은 지난 4월 호주산 육류 일부에 대해 수입을 중단했다. 또 "호주가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며 호주산 보리에 대해 고율 보복 관세를 부과했다.

호주 정부는 이를 '무역 보복'으로 보고 있다. 호주 정부가 코로나 연원에 대한 국제 조사를 촉구하고 홍콩 문제 등에서 미국의 편을 든 것에 대한 보복이라는 것이다. 사이먼 버밍엄 호주 통상장관은 최근 호주 언론 인터뷰에서 호주 내 인종 차별 사건이 증가했다는 중국의 주장에 대해 "근거가 없다"고 했다. 버밍엄 장관은 "중산(鐘山) 중국 상무부장과 통화하려고 여러 차례 전화를 걸었지만 연결이 안 됐다"고도 했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 영문판은 9일 "소고기, 보리, 관광, 교육에 이어 석탄이 다음 (보복 대상)이 될 것"이라고 했다. 석탄은 호주의 대표적 수출 상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