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9일 남북공동연락사무소와 군 통신선, 상선공용망 등 모든 남북 간 통신연락 채널에 응답하지 않았다. 이날 새벽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정오부터 모든 연락선을 차단·폐기하겠다”고 밝지 3시간 만이다. 이에 따라 애초 한 번도 통화가 이뤄지지 않은 청와대·노동당 중앙위원회의 직통전화를 비롯해 남북 간 모든 통신 채널이 끊기게 됐다. 지난 2018년 통신 채널이 활성화된지 2년 만이다.
통일부는 이날 “오늘 오전 공동연락사무소는 예정대로 북측과 통화 연결을 시도하였으나, 북측이 받지 않았다”고 밝혔다. 국방부도 “오늘 오전 동·서해 군 통신선과 상선공용망으로 북측과 통화 연결을 시도했지만, 북측이 받지 않았다”고 했다. 청와대는 노동당 중앙위원회와 직통 전화를 설치했었지만, 시험 통화 외에는 한번도 이를 이용해 북한과 대화를 한적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전날 오전 북한이 남북연락사무소 연락을 받지 않자 긴장했다가 오후에 다시 연락이 재개되고, 남북 군 통신선은 여전히 살아있다는 점 등을 들어 희망을 끈을 놓지 않았다. 하지만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과 김영철 당 중앙위 부위원장은 같은 날 대남사업 부서 사업 총화 회의에서 남북 통신 연락선의 완전 차단·폐기를 지시했다. 통신은 김여정·김영철이 “대남사업을 철저히 대적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배신자들과 쓰레기들이 저지른 죗값을 정확히 계산하기 위한 단계별 대적사업 계획들을 심의했다”며 “우선 북남 사이의 모든 통신 연락선들을 와전 차단해버릴 데 대한 지시를 내렸다”고 했다.
정부에서는 북한이 실제로 남북 간 통신망을 차단하자 김여정이 거론했던 개성공단 완전 철거와 9·19 남북군사합의 등도 대비해야 한다는 얘기가 나왔다. 군 안팎에서는 북한이 탈북민 단체에서 또다시 대북 전단을 날리면 고사총으로 이를 타격하는 저강도 도발을 일으킬 가능성도 거론됐다. 단거리 탄도미사일이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도발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