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이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정의기억연대(정의연) 회계 부정 의혹에 대한 입장 발표를 하고 있다.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자신의 딸이 “김복동 할머니 장학생”이었다며 과거 밝혔던 사실이 30일 확인됐다. 윤 의원은 이날 “김 할머니가 용돈을 줬다는 의미”라고 해명했다.

윤 의원은 2012년 3월1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김복동 할머니 장학생으로 경희대학교 음악대학 피아노과에 입학한 김모씨, 열심히 아르바이트해서 모은 돈 68만2785원을 나비기금 조성금으로 기탁하여 나비기금의 세 번째 출연자가 되었습니다’라는 글을 올렸다. 김씨는 윤 의원의 딸이다.

고(故) 김 할머니의 이름을 딴 장학금 지급은 2016년 5월 김 할머니가 직접 “재일조선학교 학생들에게 써달라”며 5000만원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에 기부하며 시작됐다. 2012년에는 공식적인 ‘김복동 장학금’이 없던 때로, 김 할머니가 개인적으로 윤씨의 딸에게 장학금을 줬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에 대해 윤 의원은 “2012년 쉼터에 계신 김 할머니가 방으로 불러 건넨 것”이라며 “(김복동 장학생이라는) 표현은 김 할머니가 제 자녀에게 준 용돈이라는 의미에 무게를 둔 것”이라고 했다.

한편 윤 의원은 이 글에 김씨가 나비기금에 약 68만원을 기부한 사실을 언급하며, 댓글로 ‘앞으로 ○○(딸) 친구들에게도 널리 퍼져 나갈 듯…’이라고 적었다.

나비기금은 정대협이 2012년 3월 콩고 내전 피해 여성들을 돕는다는 목적으로 모집을 시작했다. 가수 이효리가 첫 주자로 영상메시지와 함께 500만원을 기부해 국민적 관심을 끌었다.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동·길원옥 할머니 돈까지 기부됐다. 이후 인천 여명여고 학생과 교사 등 수천 명이 참여했다.

하지만 최근 윤 의원이 나비기금을 법인 명의의 계좌가 아닌, 자신의 개인 계좌로 모금했다는 사실이 최근 드러나며 논란이 되고 있다. 윤 의원은 나비기금이 조성된 지 1년여 후인 2013년 6월 자신의 페이스북에 “나비기금 계좌번호를 윤미향에서 정대협 명의로 바꿨다. 그것이 투명해 보일 것 같아”라고 적었다.

윤 의원은 자신의 딸이 기부한 직후 자신의 이름으로 70만원을 나비기금에 기부하기도 했다. 결국 자신의 기부금과 딸인 김씨의 기부금 모두 윤 의원 개인 계좌로 들어갔다는 것이다.

김씨는 경희대를 졸업하고 현재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주립대(UCLA) 음대 대학원에서 피아노 관련 공부를 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윤 의원이 정대협의 성금을 이용해 딸의 유학비를 냈다는 의혹도 제기된 바 있다.

이에 대해 윤 의원은 29일 국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딸 미국 유학에 소요된 자금은 거의 대부분 남편의 형사보상금 및 손해배상금에서 충당했고, 그 외 부족한 비용은 제 돈과 가족들 돈으로 충당했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