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7일 5·18 광주 민주화운동 관련 인터뷰에서 “발포 명령자와 헬기 사격 경위, 왜곡 공작 실상 등이 다 규명돼야 한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2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올해로 40주년을 맞은 5·18 민주화 운동과 관련해 광주 MBC와 인터뷰 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방송된 광주MBC의 5·18 40주년 특별기획 ‘문재인 대통령의 오일팔’ 인터뷰에서 ‘5·18의 여러 과제들 중에 최우선적으로 해결해야 될 과제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출발은 진실을 제대로 규명하는 것이다. 진실의 토대 위에서만 화해가 있고 통합이 있을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아직도 광주 5.18에 대해선 밝혀야 될 진실들이 많다”며 “마침 5·18진상조사위원회가 본격적인 조사 활동이 시작됐는데, 이번에야말로 아직 남은 진실들이 전부 다 밝혀지길 기대한다”고 했다. 조사위는 지난 12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조사 개시를 선언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여전히 발포 명령자가 누구였는지, 발포에 대한 법적인 최종 책임이 어디에 있는지, 또 아직도 행방을 찾지 못하고 시신도 찾지 못해 어딘가엔 아마 암매장돼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집단 학살자들을 찾아내는 일들, 또 헬기 사격까지 하게 된 경위뿐만 아니라 그 이후 대대적으로 이뤄진 진실 은폐·왜곡 등 공작의 실상들까지 다 규명돼야 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또 ‘5·18 왜곡·폄훼와 관련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엔 “민주주의의 관용이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여러가지 폄훼에 대해서까지 인정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5·18을 폄훼하고 왜곡하는 부분에 대해선 단호한 대응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진상을 제대로 규명해내는 것도 폄훼·왜곡을 더 이상 없게 만드는 하나의 방법”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미 법적으로도 20여 년 전 특별법이 만들어져 그것이 민주화운동으로 규정되고, 희생자들이 민주화운동 유공자로 인정받고, 거기에 국가기념일로 지정돼 전 국가적으로 기념행사도 치르고, 이 정도면 국민적으로, 국가적으로는 정리하고 다음의 장으로 넘어가야 되는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일제 식민 지배에 대해서도 다른 주장을 하는 사람들이 있듯이 개인적으론 다른 생각이 있을 수 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그러나 국가적으론 일제 식민 지배는 불의한 것이었고, 그에 저항한 독립운동의 정통성이 있는 것이고 친일은 심판받아야 되는 것이고, 또 해방 이후 국가 발전 과정에서 독재가 있었고, 그 독재에 맞서 치열하게 항쟁하고 희생당한 숭고한 민주화운동들이 있었다”면서 “그런 운동들이 오늘날의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이만큼 발전시켰고, 또 그와 함께 우리 경제 발전도 이만큼 이룬 점은 이제는 역사적 평가가 사실은 끝난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이 평가를 넘기고 이제 앞으로 우리 민주주의를 얼마나 더 풍부하게 발전시켜 나가느냐, 또 우리 경제를 얼마나 더 세계에서 선도적인 경제로 발전시켜 나가느냐, 이렇게 우리의 논의가 발전돼 나가야 하는데, 법적으로 다 정리된 사안을 지금까지도 왜곡하고 폄훼하는 발언들이 있고, 일부 정치권에서 조차도 그런 주장들을 받아들여 확대 재생산시키는 일들이 지금도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 참으로 안타깝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런 식의 고리를 끊어야 우리 사회가 보다 통합적인 사회로 나갈 수 있고, 우리 정치도 보다 통합적인 정치로 발전해 나갈 수 있다고 믿는다”고 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작년 5월 18일 광주광역시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5·18 희생자 고 안종필씨의 어머니를 위로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독재자의 후예가 아니라면 5·18을 다르게 볼 수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