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해 9월 신중국 건국 70주년을 축하하는 행사에서 건배를 제의하고 있다.


중국 당국이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과학 논문에 대한 대대적인 검열을 시작했다. 중국 과학자들의 코로나 바이러스 관련 임상 연구와 논문 발표는 '정부 허가제'로 바뀌었다. 발표 시기도 정부가 결정하게 됐다. 바이러스 확산 초기인 지난 1월만 해도 자유로운 연구 발표를 보장했지만, 사태가 진정되고 발원지 중국에 대한 국제사회 비판이 커지자 태도를 바꾼 것이다. 미 CNN은 13일 "10만 명이 사망한 코로나의 발원지가 기록 통제 작업에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중국의 주요 대학과 연구기관은 이달 들어 '코로나 관련 논문을 엄격 관리한다'는 공지를 띄웠다. 우한대학 인민병원은 지난 6일 '코로나 발원지 관련 논문은 과학기술부의 별도 발표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지침을 내렸다. 기존에는 대학 학술위원회 심사만 통과하면 논문 발표가 가능했지만, 정부 심사 절차를 추가한 것이다. 심사 기간을 늘리거나 줄이는 방식으로 정부가 발표 시기도 결정할 수 있게 됐다. 상하이 푸단대는 9일 공지에서 "중국 국무원(행정부) 산하 '코로나 방역 체계 과학 연구팀'이 지난달 25일 회의에서 내린 방침"이라고 밝혔다. 현재 이 공지문은 삭제된 상태다.

중국 우한대학 인민병원에서 내려온 공지. 코로나 관련 논문을 정부에서 관리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현재 이 공지문은 삭제된 상태다.


중국 과학기술부는 임상 연구에도 제한을 걸었다. 지난 3일 내린 지침에서 '연구 개시 사흘 이내에 연구 사실을 보고하라'고 했다.

중국의 논문 검열은 정부 발표와 과학자 주장이 엇박자를 내면서 본격화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는 "발원지는 중국이 아니라 미국·유럽일 가능성이 높고, 지난해 12월 바이러스 발현 이후 발 빠른 대응을 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중국 과학자들이 발표한 일부 논문에서는 발원지가 우한일 가능성이 높다고 하고, 바이러스는 정부 공식 발표보다 일찍 확산됐다고 주장한다. 지난 2월 중국과학원·베이징뇌과학센터 등이 발표한 논문에선 코로나 바이러스가 지난해 12월이 아닌 11월 중하순부터 전파됐을 것으로 본다.

중국 학계에선 논문 통제로 최신 연구를 발표하지 못하는 피해도 입고 있다. 익명의 홍콩 의료 전문가는 13일 CNN 인터뷰에서 "지난 2월 중국 본토 연구원들과 공동으로 코로나 관련 논문을 작성했는데 아직도 검열 중"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익명의 중국 연구원은 "정부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중국에서 연구 진척이 느려지고 최신 발견도 사장될까 걱정"이라고 했다.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보좌관이 지난 3일 자신의 트위터에 올린 사진. 중국에 대한 블랙북을 만들자는 제안을 담은 홍보물이다.


논문 검열은 중국이 코로나 종식 이후 국제사회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기 위한 전략이란 분석이 나온다. '대재앙의 발원지'란 수식어는 지우고 '방역에 성공한 대국'이란 이미지만 남겨 국제 영향력 확대를 꾀한다는 것이다. 이미 중국 CCTV 등 관영매체들은 중국 코로나 대응 일지를 정리해 보도하며 '방역 성공'을 선전하고 있다. 중국 정부에서 직접 기획한 도서인 '대국의 전염병 전쟁'은 표지가 인쇄됐다는 증언이 나왔다. 영국 런던대 동양·아프리카대(SOAS) 산하 중국 연구소의 스티브 창 교수는 가디언에 "코로나 사태에서 중국 정부는 공중위생·경제 후폭풍보다 기록 통제에 더 집착한다"고 비판했다.

존 볼턴 전 미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보좌관은 3일(현지시각) 자신의 트위터에 "코로나 바이러스와 관련한 중국의 거짓과 은폐로 미국과 전세계가 위협에 처했다"며 "중국 공산주의에 대한 블랙북(black book·종합 정보 보고서)'을 만들어야 한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