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사태가 확산되는 가운데 한일(韓日) 간 협력이 재외공관에서 이뤄지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은 12일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확대에 따라 일·한 정부가 해외로부터의 자국민 귀국 문제에 협력 대응하고 있다"며 "아프리카와 동남아에서 귀국 전세기를 융통해 양국 국민을 대피시켰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이 대표적인 한·일 협력 사례로 거론한 것은 인도양의 섬나라 마다가스카르의 한·일 대사관. 지난달 마다가스카르는 코로나 문제로 국가비상사태가 선포돼 국제선 운항이 중단됐다. 그러자 주(駐)마다가스카르 한국대사관은 전세기를 수배해 교민 27명 이송 계획을 세웠다. 이를 전해 들은 일본대사관이 협조 요청을 해와 일본인 7명도 지난달 31일 마다가스카르를 출발하는 전세기에 탑승하게 됐다.
이달 초 필리핀과 케냐에서도 일본인 60여명이 한국대사관이 수배한 전세기에 타는 방식으로 귀국했다고 이 신문은 보도했다. 카메룬에서는 한·일 대사관이 공동으로 전세기를 마련해 일본인 56명이 귀국할 수 있었다.
요미우리신문은 "양국 간 현안인 징용 문제가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자국민 보호 차원에서 공동보조를 취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이 같은 협력은 귀국 대상자가 적은 지역에서는 비용 부담이 커서 단독으로 전세기를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양국 모두에 이점이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