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배달 앱 ‘배달의 민족’에 맞서 독자적으로 공공 배달 앱 개발 방침을 밝힌 경기도가 ‘배달의 명수’를 개발해 활용하고 있는 전북 군산시와 손을 잡았다.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강임준 군산시장은 9일 경기도청에서 군산시의 ‘배달의 명수’ 기술 자문 및 상표 무상사용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두 도시 간의 협약서에는 공공 배달 앱 기술 자문, 상표 무상사용에 관한 행정 지원, 실무협의체 구성 및 운영 등 협력사항을 담았다.

이재명 경기지사(왼쪽)와 강임준 군산시장이 9일 오후 경기도청에서 '배달의 명수' 활용과 관련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경기도와 군산시는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경기도와 도내 31개 시군이 군산시 ‘배달의 명수’의 기술을 이전받고, 상표를 무상 사용할 수 있도록 협력체계를 구축해 나가기로 했다. 또 ‘배달의 명수’ 앱 도입을 원하는 다른 광역자치단체에도 관련 기술자문과 상표를 무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이재명 지사는 최근 배달의 민족의 수수료 체계 변경과 관련해 독과점 횡포를 제기하며 민관 합동 태스크 포스를 구성해 공공 배달 앱 개발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 “배달 앱의 매출과 비용, 수익기반, 지방세 납부 여부 등을 조사한 후 실제 조사 여부를 판단해달라”며 배달의 민족에 대한 세무조사 필요성도 언급했다.

이 지사는 이날 “’배달의 명수’라는 공공 배달 앱이 우리나라 배달 시장 혁신의 새로운 단초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이미 만들어 놓은 지역화폐 유통망과 데이터, 기술 등 공적 인프라와 역량을 경기도가 투자하고, 앱 개발과 운영은 민간에게 맡겨 민간과 공공의 장점을 결합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강 시장은 “’배달의 명수’는 온라인 쇼핑몰 플랫폼처럼 지역 물품 거래는 물론 숙박업소 예약까지 처리할 수 있게 구성해 군산의 자립을 튼튼히 하기 위한 차원에서 준비한 것”이라며 “사용을 원하는 자치단체가 있다면 최대한 돕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