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0시 중국 우한(武漢)의 우어(武鄂)고속도로 공자링(龔家嶺) 요금소. 우리 식으로 치면 서울의 '동대문'인 이곳에 전날 오후 7시부터 차들이 모여들기 시작해 4㎞가량 대기 행렬을 이뤘다. 차들은 자정이 되자 3개 차로로 우한을 빠져나가기 시작했다. 지난 1월 23일 우한에 내려졌던 봉쇄령이 해제되면서 우한 정부는 이날 공자링을 비롯해 75개 진출로를 재개방했다. 중국 관영 CCTV에 따르면 공자링 요금소 한 곳에서만 이날 정오까지 1만2000대가 빠져나갔고, 밤까지 총 2만대 차량이 우한을 벗어났다.

같은 시각 우한 톈허(天河)국제공항, 한커우(漢口) 기차역 등도 정상 운영을 시작했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8일에만 6만여 명이 기차 276대, 비행기 111대를 타고 우한을 빠져나갔다. 개인 차량을 이용한 사람을 포함하면 하루 동안 수십만 명이 우한을 떠나 중국 전역으로 향한 셈이다.

76일만에 봉쇄 푼 우한… 자동차·기차·비행기로 수십만명 빠져나가 - 8일 새벽, 봉쇄령이 해제된 중국 후베이성 우한의 한 고속도로 톨게이트에 우한을 빠져나가려는 차량이 줄지어 서 있다. 중국 정부는 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해 우한 진출입을 금지했다가 이날 76일 만에 봉쇄를 풀었다. 이날 6만여명이 기차 276대, 비행기 111대로 우한을 떠났고, 개인 차량까지 포함하면 수십만명이 우한을 빠져나간 것으로 추산된다.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사상 초유의 '대도시 봉쇄'를 실시했던 중국 중부 도시 우한이 8일 봉쇄를 풀었다. 76일 만이다. 우한에서 일하거나 우한을 단기 방문했다가 두 달 넘게 도시에 갇혔던 외지인 수백만 명이 집으로 돌아갈 전망이다. 이날 우한 시내에서 고속도로로 이어지는 주요 도로는 곳곳에서 정체를 빚었고, 한커우역 등 기차역 광장에는 기차를 타려는 사람 수백 명이 몰려 인산인해를 이뤘다. 차로 우한을 벗어나던 한 남성은 CCTV 인터뷰에서 "아내, 딸과 이렇게 오래 떨어져 있기는 처음"이라며 "빨리 가서 쉬고 바로 출근해야 한다"고 했다.

이날 중국 보건 당국은 7일 하루 동안 62명이 코로나 신규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중국이 확진자에 포함하지 않는 무증상 감염자(바이러스 검사에서 양성을 받았지만 증세가 없는 경우)도 137명이 늘면서 코로나가 재확산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늘어난 무증상 환자 가운데 30명은 우한 등 후베이(湖北)성에서 나왔다.

봉쇄령은 풀렸지만 우한시 정부는 2월 17일부터 실시하고 있는 거주지별 '봉쇄식 관리'를 계속하고 있다. 아파트 단지 밖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출근이나 생필품 구매 등의 사유를 밝혀야 한다. 1·23 봉쇄로 전면 중단됐던 우한 시내버스와 지하철은 3월 말 운행을 재개했지만 감염 등을 우려해 아직은 이용객이 적은 편이라고 한다. 학교도 개학 일정을 잡지 못했다.

기차역 대합실 몰려든 인파 - 8일 중국 후베이성 우한의 한커우 기차역 대합실에서 사람들이 기다리고 있다. 중국 정부가 1월 말부터 이어진 우한 봉쇄령을 76일 만에 해제하자 이날 역과 공항에 우한을 떠나려는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바이러스 해외 유입을 막기 위해 국제선을 대폭 축소했던 중국은 육로도 닫고 있다. 중국 정부는 7일부터 헤이룽장(黑龍江)성 쑤이펀허(綏芬河) 세관 등 러시아로 이어지는 육상 이동로를 폐쇄했다고 밝혔다. 러시아 등 해외에 체류 중인 중국인들이 육로를 이용해 귀국하고 있는데 이들 중 바이러스 양성 판정을 받는 사례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 중국 지도부는 이날 정치국 상무위원회 회의를 열고 방역을 상시화하면서 생산을 전면 재개할 방안을 논의했다고 CCTV가 보도했다. 시 주석은 전 세계 코로나 확산과 경제 하강 위험 등을 언급하며 "외부 환경 변화에 비교적 긴 시간 대응할 수 있는 업무 준비를 하라"고 했다.

중국 정부는 광저우에서 4월 열릴 예정이었던 중국수출입상품교역전(캔톤 페어)을 6월 중·하순 온라인으로만 개최하기로 했다. 1957년 시작된 캔톤 페어는 중국 최대 무역 행사로, 1960~70년대 문화대혁명(극좌 사회운동) 때도 중단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