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흥민은 지난달 오른팔 골절 부상을 당했을 때 왜 영국에서 치료받지 않고 즉각 귀국해 치료를 받고 돌아갔을까.
손흥민은 지난달 17일(한국 시각) 영국 버밍엄에서 열린 애스턴빌라와의 프리미어리그 경기에서 상대 수비수와 충돌하며 넘어졌다. 오른팔 골절을 확인한 손흥민은 곧바로 귀국해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정밀검사를 받고 지난달 21일 수술을 받았다. 그는 2017년 6월 카타르와의 러시아월드컵 아시아지역 최종예선에서 오른팔이 부러졌을 때도 깁스를 한 채 귀국해 국내에서 수술을 받았다.
전 축구 국가대표 주치의인 송준섭 강남제이에스병원장은 "한국이 마음 편한 고향이란 측면도 있겠지만, 영국 의료 시스템이 답답하고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귀국한 것"이라고 말했다. 송 원장은 "과거에는 영국 의료가 최고라고 생각해 운동선수들이 일부러 영국에 가서 치료받기도 했지만 대기 시간이 긴 데다 전문의를 만나려면 많은 단계를 거쳐야 하고 의사의 환자에 대한 애착도 부족하다"고 말했다. 손흥민도 영국에서 치료받으려면 얼마나 기다려야 할지 몰라 귀국했을 거라는 얘기였다.
역시 프리미어리그에서 뛴 L 선수는 2011년 다리 부상을 당했다. 그는 사정을 잘 몰라 영국에서 수술을 받았는데, 의사는 수술 후 3일 만에 퇴원하라고 했다. 아직 통증이 남아 있는 상태였다. 통증 때문에 고생한 L 선수는 재활치료는 귀국해서 받았다.
영국 NHS는 '진료비 지불 능력이 아닌 임상적 필요(Based on clinical need, not ability to pay)'에 근거해 전 국민에게 무상 의료를 보장하는 제도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지난해 말 한 인터뷰에서 "NHS는 영국의 위대한 것들 중 하나"라고 했다. 모든 사람을 차별 없이 진료하는 장점이 분명하지만 긴 대기 시간, 부족한 의료 인력, 낙후한 설비 등으로 혹평도 많은 제도이기도 하다.
회사원 장모(52)씨는 2016년 3월 영국에서 근무할 때 어깨 근육을 다쳤다. 통증이 심했지만 거주지 주치의(GP)는 한 달 치 진통제를 주고 "그래도 아프면 다시 오라"고 했다. 진통제로 어깨 통증이 나을 리 없었다. 한 달 후 다시 방문하자 "그러면 엑스레이를 찍어보자"고 했다. 2차 병원에 예약한 다음 엑스레이를 찍고 어깨 근육 파열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그래도 바로 치료해주지 않았다. 이제 종합병원 정형외과 전문의를 만나야 한다고 했다. 그렇게 6개월 만에 만난 전문의는 "수술을 받으려면 지금부터 3 개월은 기다려야 한다"고 했다. 장씨는 "우리로 치면 하루 이틀이면 전문의 만나 진단받고 곧장 치료에 들어갈 것도 영국에서는 몇 개월 걸린다"며 "영국에 사는 인도인들도 수술받으려면 인도에 가서 받고 오더라"고 말했다. 그래서 영국에서도 비싸고 모든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민간 병원을 이용하기 위해 민간 의료보험에 가입하는 사람들이 빠르게 늘고 있는 추세다.
입력 2020.04.03. 11:04업데이트 2020.04.03. 11:15
100자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