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발원지를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갈수록 격화하고 있다. 핵심은 "누가 이번 사태에 책임이 있느냐"는 문제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까지 '중국 바이러스(Chinese Virus)'라고 부르면서 갈등이 양국 최고 지도부까지 번지는 양상이다.
17일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에 따르면 양제츠 중국 공산당 외교 담당 정치국 위원은 16일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의 전화 통화에서 "중국 인민의 노력으로 세계가 방역 업무에 나서는 데 귀중한 시간을 얻게 됐다"며 "미국 일부 정치인이 중국의 신종 코로나 방역 노력을 헐뜯고 중국에 오명(汚名)을 씌우고 있어 중국인의 분노를 자아내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미국 측에 엄중히 경고한다. 중국에 먹칠하려는 어떤 시도도 성공하지 못할 것이며 중국의 이익에 손해를 끼치는 행동은 강한 반격에 맞게 될 것"이라고 했다. 양제츠는 중국 중앙외사공작위원회 주임을 겸임하는 외교 분야 사령탑이다.
그러자 미 국무부는 대변인 성명을 통해 "폼페이오 장관은 (양제츠 정치국 위원과의 통화에서) 신종 코로나에 대한 비난을 미국으로 돌리려는 중국의 시도에 강력한 반대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미 대통령도 16일(현지 시각) 자신의 트위터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를 '중국 바이러스'라고 부르며 논란을 키웠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간 이를 '외국 바이러스(Foreign Virus)'라고 불러왔다.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바이러스' 발언과 관련한 논평 요구에 "중국에 오명을 씌우는 것"이라며 "잘못을 바로잡고 중국에 대한 근거 없는 질책을 중단하길 바란다"고 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중국 바이러스' 발언을 인종 차별로 규정했다.
미·중은 그간 바이러스의 발원지, 중국의 대응을 놓고 각을 세워왔다. 일부 중국 매체와 전문가들이 2월 말부터 "중국 우한에서 첫 환자가 나오긴 했지만 바이러스의 발원지는 중국이 아닐 수 있다"는 주장을 펴기 시작했다. 바이러스 확산에 대한 중국의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지난 2일 "바이러스가 어디서 왔는지 분명히 조사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자 폼페이오 장관은 지난 6일 "이것이 우한 코로나 바이러스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고 말했다. 로버트 오브라이언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지난 11일 "중국의 감염 은폐로 세계에 두 달간 피해를 줬다"고 말했다.
이에 지난 13일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자신의 트위터에 글을 올려 "(지난해 10월 열린 우한 세계군인체육대회에 참여한) 미군이 전염병을 가져왔을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자 미 국무부는 추이톈카이 주미 중국 대사를 국무부로 소환해 항의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