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17일 국산 코로나 진단 키트(kit) 5만1000개를 아랍에미리트(UAE)에 긴급 수출했다고 밝혔다. 코로나 진단 키트 첫 수출 사례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 나하얀 UAE 왕세제가 지난 5일 통화를 했고, 이틀 뒤 UAE가 외교 채널을 통해 진단 키트 구매를 요청해 왔다"고 했다. 그는 "외교부가 나서서 지난 주말 노블바이오사(社) 진단 키트 5만1000개를 긴급 수출했다"며 "추가 물량 공급 계약 체결을 위한 협의가 진행 중"이라고 했다. 그는 "이번 진단 키트 첫 수출은 코로나19 대처를 위한 국제 공조가 시급한 상황에서 '코로나 외교'의 방향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에 따르면 진단 키트 지원을 공식 요청한 나라는 동남아 3국, 중동 4국, 유럽 2국, 독립국가연합(CIS) 2국, 중남미 2국, 아프리카 2국, 기타 2국 등 총 17국이다. 진단 키트를 포함해 방호품 지원을 요청하거나 보건 전문가 파견을 요청한 나라는 총 26국이다. 국내 진단 키트 업체들은 30여국으로부터 수출 주문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발표 이후 노블바이오가 수출한 제품은 진단 키트가 아니라 진단 검사에 필요한 검체(시료)를 콧구멍이나 목구멍에서 채취하는 검체 채취 키트라는 지적이 나왔다. 이에 대해 노블바이오 관계자는 본지 통화에서 "윗분(청와대 관계자)들이 저희 제품을 진단 키트라고 말한 건 외교부와 커뮤니케이션에 문제가 있었던 것 같다"면서 "우리도 뉴스를 보고 놀라서 외교부와 통화했더니 '우리는 (청와대에) 정확히 말했는데, 검체 채취 키트가 전체적인 진단 키트 종류에 속하니까 그렇게 윗분들이 쓰신 것 같다'고 말하더라"고 했다.

청와대는 진단 키트 수출이 맞는다는 입장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코로나 진단 키트는 검체 채취 키트와 검사 키트 두 종류로 구성되고, 두 종류가 있어야 진단을 할 수 있다"고 했다. 채취 키트를 진단 키트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한 진단검사의학회 관계자는 "코로나 검사에 채취 키트와 진단 키트가 모두 필요한 건 맞지만, 엄밀히 따지면 진단 키트는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PCR 키트를 의미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