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4일 우한 코로나 사태와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과 우리 국민을 위로하는 친서를 보냈다고 청와대가 5일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김 위원장에게 답신을 보냈다고 했다. 북한은 우한 코로나 확산 상황에도 지난 2일 미사일을 발사했고 3일에는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 명의로 청와대를 "저능하다"고 맹비난하는 담화문을 냈었다.

김 위원장은 이번 친서에서 우한 코로나는 물론이고 가축전염병 등 방역에서 남북 협력을 부탁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답신에서 "북한이 원할 경우 보건 협력을 언제든지 할 수 있다"는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우한 코로나 환자가 한 명도 없다는 공식 발표와 달리, 대규모 인원을 격리하는 등 코로나 피해가 확산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방역 역량이 한계에 달하자, 문 대통령이 3·1절 기념사에서 제안했던 남북 보건 협력을 사실상 수용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윤도한 청와대 소통수석은 이날 브리핑에서 "김 위원장은 코로나 19와 싸우고 있는 우리 국민에게 위로의 뜻을 전하고 반드시 이겨낼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며 "남녘 동포들의 소중한 건강이 지켜지길 빌겠다는 말도 했다"고 말했다. 윤 수석은 "김 위원장은 문 대통령의 건강을 걱정하며 마음뿐일 수밖에 없는 상황에 안타깝다는 심정을 표했다"고 밝혔다. 윤 수석은 "김 위원장이 한반도를 둘러싼 정세에 대해 진솔한 소회와 입장도 밝혔다"며 "문 대통령에 대한 변함없는 우의와 신뢰의 뜻을 보냈다"고 했다.

북한의 냉·온탕 전략에 대해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언론과 전문가 평가가 있고 저희 판단이 있다"며 "전체 상황 속에서 봐야 한다"고 했다. 김정은의 친서는 작년 10월 문 대통령 모친상 이후 5개월 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