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표 국회 코로나19 대책 특별위원장이 5일 국회에서 열린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여야가 5일 우한 코로나(코로나19) 감염 확산에 따른 마스크 품귀 현상과 관련해 정부의 대응을 질타했다.

이날 국회에서 열린 국회 코로나19 대책특위 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정부가 국민들에게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라고 홍보할 필요가 없는 상황에서 물량도 제 때 공급되지 못해 큰 불편을 끼쳤다는 취지의 지적을 했다. 민주당 김상희 의원은 "마스크와 관련해서는 우리 정부가 정말 국민들에게 입이 열개라도 할 말이 없는 상황"이라며 "(정부가) 우리 국민들이 과도하게 마스크에 의존하게끔, 마스크가 없으면 모든 예방이 안되는 것처럼 극도의 불안을 갖게끔 만들었다"고 했다. 김 의원은 "세계보건기구(WHO) 예방지침 어디에도 마스크를 착용하라는 게 없다. 손을 씻고, 사회적 거리를 유지하고, 눈·코·입을 만지지 말고, 호흡기 위생 관리를 하고, 조기치료와 지원을 받으라는 게 예방지침"이라며 "왜 이 예방지침에 근거해서 정부가 정책을 세우지 않는지 저는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고 했다.

같은 당 기동민 의원도 "정부 당국이 관리에 실패하고 커뮤니케이션에 실패한 것이 마스크"라며 "기저질환이 있거나 건강상태가 취약한 분들은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지만 (건강한) 분들은 밀집한 공간에서는 해야겠지만 (다른 곳에서는)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다는 메시지가 진작에 나갔어야 했다"고 했다. 민생당 김광수 의원은 "마스크 문제와 관련해서는 당국이 정말 통렬한 반성과 사과를 해야한다"며 "처음에 국민들에게 극도의 불안감을 조성해서 마스크가 없이는 당장 코로나19에 걸릴 것처럼 마스크가 없이는 못산다는 기본인식을 갖게 했다"고 했다.

반면 미래통합당 의원들은 정부가 마스크를 반드시 쓰라고 하더니 정작 마스크 공급이 부족해지니까 입장을 바꿨다고 비판했다. 통합당 박대출 의원은 "마스크 대란은 주먹구구식 국정운영이 빚은 참사"라며 "'마스크를 꼭 써라' 그랬다가 '꼭 안써도 된다', '공급량은 충분하다' 그랬다가 '모자라니 아껴써라' 이렇게 어제 말과 오늘 말이 다른 정부의 주먹구구식 안이한 국정운영이 자초한 대재앙"이라고 했다. 나경원 의원도 "처음에는 WHO도 사실상 증상이 있는 환자나 또는 (환자를) 돌볼 경우 쓰라고 하지 KF94 사용을 권고하지 않았는데, 식약처에서 KF94와 KF99를 권하고 싶다고 발표를 했다. 그러니까 국민들이 그때부터 많이 사용을 한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