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25일 대구에서 열린 우한 코로나 바이러스 대책회의에 코로나 확진자와 접촉한 이승호 대구시 경제부시장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청와대는 뒤늦게 이 사실을 알고 청와대 일부 관계자와 취재진에 대해 자가 격리를 요청했지만, 이 부시장이 26일 음성 판정을 받으면서 조치를 해제했다. 하지만 청와대가 확진자와 접촉한 인사를 미리 걸러내지 못하고 대통령 주재 회의에 배석하도록 한 것 자체가 심각한 경호 실책이란 지적이 나왔다. 이 부시장이 '양성' 판정을 받았을 경우, 하마터면 대통령이 자가 격리되고 청와대 업무가 마비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질 수 있었다.
이 부시장은 25일 대구시청에서 열린 특별대책회의와 KTX동대구역에서 열린 소상공인 간담회 등 문 대통령이 주재한 2개 행사에 잇따라 참석했다. 그런데 같은 날 오후 이 부시장의 비서가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았다. 비서와 '밀접 접촉'한 이 부시장이 대통령과 두 시간 가까이 같은 공간에 있었던 것이다. 추후 이 사실을 보고받은 청와대는 25일 밤늦게 당일 회의장에 있었던 청와대 직원과 기자들에게 '1주일 자가 격리'를 요청했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문 대통령도 자율 격리 대상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다. 당시 대책회의와 간담회에는 문 대통령뿐만 아니라 청와대 참모진, 교육부 유은혜·행안부 진영·복지부 박능후·중기벤처부 박영선 장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2차장, 대구시장 등 방역 책임자들이 대거 참석했다. 만약 이 부시장이 코로나에 감염됐다면 대통령부터 장관·방역 책임자 등이 줄줄이 자가 격리 대상이 되면서 국가 방역 시스템이 전면 마비될 뻔한 것이다. 청와대 국정 운영에도 큰 차질이 벌어질 수 있었다. 다행히 이날 오전 이 부시장 검사 결과가 '음성'으로 나오면서 청와대 직원과 기자들에 대한 자가 격리 조치도 해제됐다.
이 부시장은 비서가 코로나 검사를 받은 사실을 알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 부시장이 알았다면 회의에 들어오지 않았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과의 거리가 2m 이상이었고 마스크를 쓰고 있었다"고 했다. 하지만 이 부시장이 비서의 의심 증상을 사전에 인지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정부 관계자는 "이 부시장이 비서의 의심 증상을 알고도 회의에 참석했다면 큰 문제고, 참석자들 상태를 체크하지 않은 경호처의 대응도 문제였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