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한 폐렴’(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발원지인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과 인근에서 철수하는 한국인 333명을 실은 정부의 두번째 전세기가 1일 오전 8시 15분쯤 김포공항에 도착했다. 전날 오후 9시 18분쯤 두번째 전세기가 김포공항에서 출발한 지 약 11시간 만이다. 이날 도착한 교민 중 7명은 발열증상 등 의심증세를 보여 격리된 뒤 국립중앙의료원으로 이송됐다.
전세기가 착륙한 곳은 김포공항 비즈니스항공센터(SGBAC)로, 일반 여객기가 아닌 개인용 전세기 이용객들이 입출국하는 장소다. 일반 여행객과의 접촉을 줄이기 위한 조치다. SGBAC는 평소에도 차량 출입을 철저히 통제하는 등 경계가 삼엄한 곳이다.
김포공항에 도착한 교민들은 계류장에 마련된 1차 검역소에서 체온 측정과 문진표 작성 등 검역 과정을 거치고 오전 9시 30분쯤부터 김포공항 A게이트를 빠져나갔다. 이들은 준비된 대형 버스(32인승) 8대와 중형 버스(24인승) 25대 등 차량 33대에 나눠 타고 임시 숙소인 아산 경찰인재개발원으로 이동했다.
전날 첫번째 전세기를 타고 귀국한 368명의 교민 가운데 18명이 유증상자로 분류되면서, 이날 검역 과정은 더 엄격하게 이뤄진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이날 입국한 교민 중 7명이 유증상자로 분리돼 국립중앙의료원으로 이송됐다.
이날 도착한 교민 중에는 중국 측 검역 기준(발열 37.3도)에 따라 1차 귀국 전세기에 탑승하지 못했던 1명도 포함됐다. 이 한국인은 중국 당국 검역 후 앰뷸런스로 병원에 이송된 후 진료 후 귀가 조치된 상태였다. 수습당국 등에 따르면 이 한국인은 이번 탑승에서는 의심증상을 보이지 않으면서 무증상자로 구분됐다.
교민들은 앞으로 14일간 아산에 격리돼 머물게 된다. 전문가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최장 잠복기를 14일 정도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기간 동안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감염의 가능성이 없다고 볼 수 있어, 14일간 격리를 하고 일단 건강 상태를 체크한 이후 특별한 증상이 없다면 바로 격리를 해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