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총선 출마 공직자 사퇴 시한인 16일, 청와대와 행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소속 인사들의 마지막 '공직 탈출' 러시가 이어졌다. 이들 중 일부는 후임자가 정해지지도 않은 상태에서 쫓기듯 사표를 냈다. 임기가 1년 이상 남은 상태에서 무책임하게 떠난 이도 적지 않았다. 여권과 공직 사회가 국정(國政)은 뒷전인 채 오로지 선거판에 매달리는 듯한 모습이다.
16일 현재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총선 예비 후보로 등록한 민주당 소속 후보 367명 중 청와대와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등에서 공직을 지낸 인물은 134명에 달했다. 아직 예비 후보 등록을 하지 않은 사람을 합치면 '공직 출신'은 150명을 훌쩍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청와대와 정부 가릴 것 없이 여권과 공직 사회가 총선에 총력을 쏟는 모양새다.
청와대 고민정 전 대변인과 유송화 전 춘추관장은 공직 사퇴 시한 하루 전인 15일 사퇴했지만 아직 후임자 인선은 이뤄지지 않았다. 총선에 나가는 문재인 정부 청와대 출신 인사는 행정관급을 포함해 70여 명에 달한다. 지금까지 총 15차례에 걸쳐 총선 출마자에 대한 인사를 하면서 '청와대가 총선 출마 대기소냐'는 지적까지 나온다.
부처 고위직들의 출마용 사퇴도 이어졌다. 김경욱 전 국토부 2차관은 임명 7개월 만인 지난달 총선 출마를 위해 사퇴했고, 김영문 전 관세청장, 강준석 전 해양수산부 차관 등도 작년 말 줄줄이 사표를 냈다. 서울시에선 강태웅 전 행정1부시장을 포함해 부시장 4명이 총선 출마를 위해 물러났다. 경기도 이화영 전 평화부지사, 인천시 허종식 전 균형발전 정무부시장도 최근 사퇴했다. 이상직 전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이사장, 김성주 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이강래 전 한국도로공사 사장 등도 최근 총선에 나간다며 사표를 냈다. 이들은 정치권 '낙하산'으로 임기가 대부분 1년 이상 남았다. 이 기관들은 후임자 없이 직무 대행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 내부에선 "이들 상당수는 공직을 총선에 출마할 '경력 쌓기' 용도로 여기는 것 같다"는 비판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