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미국과 갈등 국면 속에서 우군 확보를 위해 중·동부 유럽과의 외교 전면에 나선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3일 보도했다.

SCMP에 따르면 중국은 중·동유럽(CEEC) 17개 국가와의 경제협력 추진 기구인 '17+1' 정상회의를 오는 4월 베이징에서 개최한다. 2012년 첫 행사를 원자바오(溫家寶) 전 총리가 주재한 후 매년 리커창(李克强) 총리가 주재해 왔지만, 올해는 시 주석이 전면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각국에 보내진 초대장이 리 총리가 아닌 시 주석 명의로 되어있기 때문이다. SCMP는 한 소식통을 인용, 시 주석이 이번 정상회의에서 기조연설을 한 뒤 중국을 방문한 각국 지도자들을 만날 예정이라고 전했다.

시 주석은 오는 9월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주재로 독일 라이프치히에서 열리는 유럽연합(EU) 27개국 정상회의에도 직접 참석해 각국 정상들과 만날 예정이다. 시 주석이 대(對)유럽 외교전선 전면 등장한 것에 대해서는 미국과의 무역·기술전쟁에서 우군을 확보하고, 중부와 동부 유럽 지역으로 중국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서라는 의견이 많다.

17+1 정상회의에는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 루마니아,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그리스 등 EU 회원국 12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그리스는 지난해 4월 합류했다.

중국은 17+1 정상회의가 중부와 동부 유럽으로 일대일로(一帶一路)를 확장할 절호의 기회로 보고 있다. '현대판 실크로드'로 불리는 일대일로는 중국 주도로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등 전 세계 무역·교통망을 연결해 경제 벨트를 구축하려는 구상이다. 시 주석의 대표적인 외교 정책으로 꼽힌다.

중부와 동부 유럽 국가들은 중국과의 교역 확대로 경제 이익은 물론 국제 무대에서도 서유럽에 맞설 수 있도록 발언권을 키울 수 있다는 판단 아래 일대일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반대로 중국 주도의 17+1 정상회의와 일대일로 사업이 EU 통합을 저해할 것이라며 의견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