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2월 발표한 4대강 보(洑) 처리 방안에서 철거 방침을 밝힌 공주보에 대해 지역 주민들 98%가 철거 반대 입장을 내놨다. 공주시가 자체적으로 실시한 첫 여론조사 결과다. 공주시는 주민에게 배포한 질의서에 철거의 당위성만 소개하고 반대 근거는 전혀 담지 않았다. 그런데도 주민들이 압도적인 반대 의사를 밝히자 공주시는 "일부 주민의 의견"이라며 "다시 여론조사를 하겠다"고 밝혔다.

공주시는 지난 3~11일 지역 16개 읍·면·동사무소를 통해 '공주보 관련 사전의견서'를 접수했다. 11일 공주 고마센터에서 열린 공주보 처리 관련 시민토론회에 참석할 수 없는 주민들의 의견을 듣기 위한 여론조사였다.

공주시에 따르면 이번에 주민 770명의 사전의견서를 접수했다. 이 가운데 공주보 철거를 반대하는 의견이 754명(97.92%)으로 집계됐다. 15명(1.95%)은 철거 찬성, 1명(0.13%)은 유보(전문가 의견 듣고 결정) 의견을 내놨다. 조사에 참여한 대다수 주민이 반대 의견을 밝힌 것이다. 공주보 철거 반대 이유로는 '농업용수 부족 우려'의 비중이 가장 많았다. 공주시 관계자는 "반대 이유로는 농업용수 부족을 걱정하는 의견이 대부분이었다"고 말했다. 반대 주민은 철거로 인한 공주보의 안정성과 철거 비용에 따른 재정 부담을 우려했다. 공주보의 다리 기능을 유지하면서 보만 철거한다는 정부안에 대해선 "교각 안전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철거 찬성 측은 수질 개선과 보 유지 비용 부담을 이유로 들었다.

이번에 공주시가 배포한 A4용지 크기의 사전의견서에는 지난 2월 환경부 4대강 조사·평가기획위원회가 발표한 내용이 그대로 담겨 있었다. 주요 내용은 '보가 없어질 경우 수질·생태가 크게 개설될 것으로 예상' '보 해체 시 총 편익이 해체 비용 및 소수력발전 중단 등의 제반 비용 상회' 등 철거의 당위성이 설명돼 있었다. 공주보해체반대투쟁위원회는 "사전의견서에 공주보 철거를 발표한 정부의 일방적인 내용이 설명돼 있어 다소 편향적이었지만 결국 결과는 철거 반대"라며 "주민 대다수의 의견이 무엇인지 제대로 증명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공주시는 공주보 처리 방안에 대한 여론조사를 다시 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의 대표성이 떨어지고 철거 반대 이유가 비슷하다는 이유다. 공주시 측은 "주민 770명이 공주 시민 10만7000명을 대표할 수 없다"며 "다른 방법의 여론 조사를 고민 중"이라고 밝혔다. 김정섭 공주시장은 지난 12일 "이달 중 공정한 방식에 따른 여론조사를 진행해 그 결과를 국가물관리위원회에 제출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윤응진 공주보해체반대투쟁위원회 사무국장은 "자유롭게 진행된의견 수렴을 무시하고 다시 여론조사를 하겠다는 공주시의 계획은 원하는 조사 결과를 받으려는 것으로 비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