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22일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업무보고 자료를 통해 "내달 중 '역사 교육 추진단'을 만들어 내년 3~8월 초·중·고교별 역사 자료를 개발하고 보급하겠다"고 밝혔다. 내년 가을부터는 역사 교사 연수도 실시하겠다는 것이다. 조 교육감을 비롯한 이른바 진보 진영의 교육감들은 선거 과정에서 "(정부 검정 역사 교과서와 별도로) 역사 교재(敎材)를 개발하겠다"는 공동 공약을 내걸었었다.
역사 교육 논란은 보통 민감하지가 않다. 지난해 좌편향 일색인 역사 교과서의 균형을 잡겠다며 발행된 교학사 고교 역사 교과서를 둘러싸고 벌어졌던 혼란을 생각해보면 알 수 있다. 당시 전국 20개 고교가 교학사 교과서를 채택하기로 했다가 욕설, 협박, 집회에 시달려 부산의 한 곳을 빼놓고는 모두 철회했다. 최근엔 고교 한국사 교과서 8종 가운데 4종이 3·1운동을 다루면서 유관순 열사를 일절 거론하지 않은 사실이 확인되면서 또 한 차례 소용돌이가 빚어졌다. 이런 일을 겪으면서 정부에선 검인정 역사 교과서 대신 국정(國定) 교과서를 만들어내는 문제를 검토해보는 단계까지 됐다. 이에 조 교육감 등 친(親)전교조 교육감들은 "역사 교과서가 국정화되면 참고서로 쓸 대안(代案) 역사 교과서를 만들어내겠다"고 해왔다.
조 교육감이 발행하겠다는 역사 교재가 어떤 성격이 될지는 짐작이 어렵지 않다. 조 교육감이 이달 초 구성한 자문단 113명 대부분이 좌파 진영 사람들이었다. 역사 교재를 개발할 사람들도 좌파 사관(史觀) 학자들 가운데서 불러 모을 것이다. 그들이 만들어내는 편향된 역사 교재가 등장하면 교육계엔 또 한 차례 '역사 교육 전쟁'이 몰아닥칠 것이다.
역사 교과서는 사실에 근거하고, 시각이 균형 잡혀 있으면서, 공동체가 추구하는 보편적 정신과 가치를 담아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중앙정부가 직접 만들거나 검정해 역사 교과서를 발행하는 것이다. 중앙정부 역사 교과서와 지역 교육청 역사 교재가 따로 있고, 그 관점마저 다르다면 학생들은 혼란에 빠질 수밖에 없다.
조 교육감이 들고나온 자사고 재지정 취소 문제 역시 아직 해소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조 교육감은 취임 석 달도 안 돼 학생들을 건전하고 실력 갖춘 인재로 키워내는 교육 본연의 목표와는 상관없는 쟁점들을 갖고 분란(紛亂)만 빚어내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임기 내내 갈등을 만들고 대립만 키워갈 것인지 서울시 교육이 암담하기만 하다.
[사설] 文 "강경파 강력 조치" 실천이 野 생사 갈림길
[사설] 공무원연금 개혁, 노조가 막으면 국민도 참지만 않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