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25.04.25 00:55
‘성장과 통합’ 덩치 커지면서 정책 혼선·내부 갈등 불거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 측 정책 조언 그룹 ‘성장과 통합’이 공식 출범 약 일주일 만에 와해될 위기에 놓였다. ‘이재명 싱크탱크’로 불린 성장과 통합은 구설에 오르자 활동을 잠정 중단한 상태인데, 해산 여부를 두고 조직 내 다툼까지 벌어져 사실상 해체할 것으로 보인다.
성장과 통합 이현웅 기획운영위원장은 24일 보도 자료를 내 “특정 후보의 싱크탱크로 불리고, 일부 인사가 차기 정부의 특정 자리에 이름이 거론되면서 사전 선거운동 시비와 민주당 선대본 활동과 관련해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며 “23일 기획운영위원회 참석자 전원의 합의로 해체를 결정했다”고 했다. 운영위는 회의에서 ‘발전적 해체’를 하자고 의논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자 성장과 통합 유종일·허민 공동 상임대표는 입장문을 내 “해체 보도자료는 인지하지 못한 내용”이라며 “정책 제언집을 완성한 후 향후 활동 방향을 논의 중이며, 정책 제언집을 특정 캠프에 전달하는 것은 선거법 위반 소지가 있을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각 정당에 전달할 방법을 모색하는 중”이라고 했다. 이 후보 싱크탱크라는 세간의 평가를 부정한 것이다.
성장과 통합 임병식 대변인은 본지에 “대선 본선을 앞두고 당분간 ‘로키’(low-key)로 가면서 조직을 정비하는 시간을 갖는 것”이라고 했다. 그렇지만 정치권에선 “이미 포럼 기능은 상실한 것 같다”는 말이 나왔다. 유종일 상임대표는 지난 22일 민주당 의원들에게 특강을 하려다 취소했고, 오는 28일 개최하려던 인공지능(AI) 정책 관련 행사도 순연됐다.
지난 16일 공식 출범한 성장과 통합은 각계 인사가 모여들며 수백~수천 명 단위로 몸집이 커졌다. 그 과정에서 민주당 공식 정책 라인이나 이재명 캠프와 조율하지 않은 정책 관련 메시지, 일부 인사의 과거 이력 등으로 당 안팎에서 논란을 빚었다. 성장과 통합 인사가 ‘이재명 정부’에 기용된다는 추측이 쏟아지고, 회비 납부나 특정 후보 지지가 선거법 위반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 관계자는 “당 차원 공약이 되려면 충분한 내부 조정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마치 성장과 통합 측 제안이 바로 대선 공약이 되는 듯한 보도에 당내 불만이 있었다”고 했다.
민주당 지도부는 공식적으로 발표하지 않은 정책이 당이나 이재명 후보의 공약으로 알려지는 일을 경계하는 분위기다.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이날 입장문을 내 “설익은 정책 공약 보도가 쏟아지는 데에 당내외 우려가 크다”고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