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25.04.23 18:23
‘정치 브로커’ 명태균씨의 여론조사 조작 의혹 등을 수사하고 있는 검찰이 전광삼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을 상대로 명씨 측에 공표 여론조사를 진행할 한 언론사를 소개해준 경위를 물은 것으로 파악됐다. 전 수석은 “명태균이라는 사람을 현재까지 만난 적이 없고 오세훈 캠프에서 활동한 적도 없다”는 입장이다. 기자 출신인 전 수석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대통령실 시민소통 비서관으로 일하다 작년 총선에 출마하기 위해 대통령실을 떠난 뒤 시민사회수석으로 대통령실에 복귀했다.
23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전 수석은 전날(22일) 검찰에 출석해 4시간 정도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를 받았다. 그는 변호인 입회 없이 출석했다고 한다. 검찰은 지난 202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명씨 측이 수행한 여론조사 결과를 보도할 언론사를 전 수석이 연결해줬다는 의혹을 살펴본 것으로 전해졌다.
이 의혹은 2021년 초 명씨가 당시 오세훈 시장 후보 캠프에서 전 수석을 만나 서울시장 후보 여론조사를 위한 규모 있는 언론사가 필요하다고 요청하자 이에 전 수석이 조사 결과를 보도해줄 언론사 부장급 간부를 연결해줬다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전 수석은 이에 대해 “여론조사 업체 피플네트웍스리서치(PNR)와 한 언론사를 연결해준 사실은 맞는다”면서도 “PNR을 어떻게 알게 됐는지는 기억이 안 난다”고 주장했다. PNR은 미래한국연구소(미한연)가 각종 공표용 여론조사를 의뢰한 업체로, 미한연은 명씨가 실질적으로 운영했다고 알려진 업체다.
전 수석은 PNR과 언론사를 연결시켜준 계기에 대해선 “내 소신은 언론사가 직접 궁금한 걸 물어봐야지 여론조사 기관이 궁금한 걸 물어보고 언론사가 그걸 그대로 받아쓰는 것은 지양해야 된다는 것”이라며 “공동 여론조사에 관심 있는 친한 기자와 관련 얘기를 나눴고, PNR이라는 곳이 언론사하고 정기적으로 정치 관련 중요 이슈 등에 대해 공동 여론조사를 좀 해보려고 하는 것 같다는 얘기를 듣고 연결시켜줬다”고 했다.
다만 그는 PNR이라는 업체를 어떻게 알게 됐는지에 관해선 “어느 모임에서 들은 것 같은데 정확히 언제 있었던 어떤 자리였는지는 기억이 안 난다”며 “2020년 6월부터 2021년 7월쯤까지 내가 특별히 하는 일이 없었기 때문에 여러 자리에 나가 사람을 만나고 다녔다”고 설명했다.
전 수석은 “(PNR에 대해 들은 자리 이후) ‘김태열’이라는 사람한테 전화가 왔고 언론사 관련 얘기를 하길래 친한 부장급 기자 연락처를 넘겨줬다”며 “이때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김태열과 연락했다. 당연히 당시엔 PNR 대표인줄 알았다”고 주장했다. 김씨는 미한연 소장을 맡았던 사람으로 명씨 측 인물로 알려졌다.
그는 “김씨가 명씨로부터 내 연락처를 받았다고 주장하는 걸로 알고 있다. 명씨가 내 명함도 갖고 있다고 했는데, (명씨를) 만난 적이 없는데 어떻게 내 명함을 갖고 있었던 건지 모르겠다”며 “건너건너 (명씨가) 내 명함과 연락처를 받았을 수도 있겠지만, 전반적으로 확실하지 않은 게 너무 많다”고 말했다.
전 수석은 이 같은 의혹에 대한 비유로 “누군가가 ‘본인 회사에서 무언가를 하려고 하는데 해줄 수 있는 회사가 없느냐’라고 물어봐서, 내가 ‘이 회사하고 얘기해봐라’는 식으로 연결시켜준 게 전부”라며 “그리고 난 (그 일에 대해) 까먹었는데, (연결시켜준) 둘 사이에 무언가를 해서 의혹을 받고 있다면 내가 죄를 지은 것이라고 할 수 있느냐”고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