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년 도청 테이프로 삼성을 협박한 사건이 난 뒤 천용택 전 국정원장이 이 일을 '유야무야' 덮은 배경을 놓고 의혹이 일고 있다. 당시 도청테이프 200여개를 회수만 하고 테이프를 밀반출한 미림팀장 공운영씨와 삼성을 협박한 윌리엄 박에 대해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국정원 퇴직 직원 모임인 국사모(국가를 사랑하는 모임)' 회장 송영인씨는 26일 평화방송 라디오에 출연해 "공씨가 반납한 도청 테이프에 김대중 전 대통령이나 천 원장 등의 비리가 담겨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당시 테이프 내용을 접했던 국정원 관계자는 "공씨가 들고 나간 테이프 중에 천 원장 관련 테이프도 있었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천 전원장의 금품수수등 비리가 들어 있었다는 것이다. 전직 국정원 관계자도 "천 원장도 테이프를 한개 갖고 있다는 얘기를 정치권 인사를 통해 들었다"고 말했다. 천 전 원장이 자기와 관련된 테이프나 당시 야당인 한나라당 공격에 사용할 목적으로 테이프 하나를 갖고 나갔을 개연성이 있다는 것이다. 공씨는 기자에게 "천 원장은 (도청)테이프를 잘 써먹었다"고 말해 천 전 원장이 도청테이프를 여러 차례 활용했음을 시사했다.
천 전 원장은 얼마전 도청 테이프건을 묻자 "잘 모르는 내용이다. 금시초문이다"라고 알려왔다. 국정원은 당시 공씨 등을 사법 처리하지 않은 것이 '직무유기'에 해당되는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다.
입력 2005.07.27. 05:21
100자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