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검사들을 위한 실무지침 가운데 지켜야 할 주도(酒道)가 들어있다는
보도가 있었다. 얼마나 마시는가가 아니라 어떻게 마시느냐가 문제라
전제하고 상사부터 차례로 술을 권한다, 상사에게는 두 손으로 권한다,
건배를 할 때에는 자신의 잔을 낮춘다는 등이 그것이다. 서양의
주도(酒道)가 수평사고에 뿌리를 두었다면 한국의 주도는 수직사고에
뿌리 박았다 할 수 있다. 우리 조상들이 굳이 주도를 가르쳐서가 아니라
은연중에 몸에 익혀 내렸는데 마을 사람들이 상하 가림없이 참여했던
향음(鄕飮)의 주법이 수직적으로 돼있었기 때문이다.

마을 단위로 날을 잡아 학덕있는 분이나 나이 많은 분을 주빈으로 상석에
모시고 신분이나 벼슬 그리고 평민이면 나이순으로 앉아 술을 권해
더불어 마심으로써 일심동체를 다지는 미풍(美風)이다. 이때 주법은 술잔
받는 사람이 서열적으로 위이면 바치는 사람의 팔이 받는 이 배꼽 위를
올라서는 안 되고, 반대로 술잔 받는 이가 상대적으로 아랫사람이면
내리는 사람의 배꼽 위로 손이 올라서는 안 되었다. 물론 윗사람에게는
두 손으로 바치되 두 손을 겹쳐야 할 때에는 오른손으로 왼손을 겹싸
존우좌비(尊右左卑)의 법통을 지켰다. 또한 윗사람이 술을 권하면 반드시
한번 사양을 하고 두 번 권할 때 받는 것도 주법이고 고개를 옆으로 돌려
마시는 행위를 보여서는 안되었다. 전통 법도에서 먹고 마신다는 등의
본능적인 용구행위는 상스럽게 여겼기 때문이다.

이 같은 주법의 서열구조 때문인지 주고받으며 더불어 마시는
수작(酬酌)이 주도의 근본이었다. 이백을 비롯해 백낙천, 소동파 등
중국의 애주가들은 혼자 마시는 독작(獨酌)인 데 비해 명종 때 정승 상진
대감은 혼자서 술잔을 들고 달 뜨기를 기다렸다가 그림자하고 주거니
받거니 수작을 했다. 정승 신용개는 수작할 사람이 없으면 국화 화분과
잔을 주고받으며 취하도록 마셨다. 기묘사화로 강릉에 낙향한 선비
박공달과 박수량은 매일처럼 만나 술을 마셨는데 장마로 물이 불어 내를
못 건널 때면 양 언덕에 술병과 술잔을 들고 앉아 서로 권하며 수작을
하고야만 마셨다. 더불어 일하는 집단에서는 결속이 필수요, 결속은
서열에서 우러난다. 한국의 주도는 그 서열을 잡는다는 데 고금이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