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작년부터 진행해 온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 마련 연구용역 중간보고회가 지역 주민·환경단체의 반발에 부딪쳐 행사 직전 무산됐다. 문재인 대통령이 낙동강 물 갈등 문제 해소를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라는 지시로 시작된 이번 용역 중간보고 결과에 대해 환경단체는 “낙동강 수문 개방 등 대통령이 약속한 공약은 지키지 않고, 알맹이 없는 대책을 내놨다”고 반발했다.
환경부는 5일 오후 2시 경남 창원컨벤션센터에서 ‘낙동강 통합물관리 연구용역 중간 보고회’를 개최하기로 했다.
이번 연구용역은 낙동강 유역 주민들에게 맑고 안전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추진됐다. 지난 2018년 문재인 대통령이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라는 지시로 시작돼 작년 3월 용역에 들어갔다.
이번 중간보고회에서 환경부는 낙동강 본류 수질개선 대책과 낙동강 취수 다변화 대안을 제시할 예정이었다.
특히 그동안 낙동강 물 문제를 두고 갈등의 주 요인이었던 낙동강 취수원 문제가 관심이었다.
앞서 환경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환경부는 경남 합천 황강 하류(45만t), 창녕 강변 여과수 개발(50만t)로 낙동강 물에 의존하는 부산과 동부경남(창원, 김해, 양산, 함안) 주민에게 공급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또 부산의 경우 하루 총 소요물량 90만t 중 47만t은 황강·창녕에서 물을 끌어오고, 나머지 48만t은 낙동강 초고도정수처리를 통해 공급할 계획을 담았다.
당장 보고회를 앞두고 창원컨벤션 앞에는 합천군 주민 300여명이 몰려와 반대 집회를 가졌다. 이들은 황강의 물을 취수해 갈 경우 하천이 말라 합천 주민의 식수·농업용수가 고갈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환경부가 우리 물을 갖고가면서도 실제 황강에 어떤 영향이 있을지 등 근거를 내놓지 않고 일방적으로 밀어붙이고 있다”고 반발했다.
환경부는 비상시 대비라는 점을 강조했지만, 이해관계가 얽힌 지역 주민들은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사실상 과거 정부에서도 반복된 갈등의 매듭이 이번에도 쉽사리 풀리지 못하는 셈이다.
보고회 장소였던 창원컨벤션 6층 회의장에는 환경단체 10여명이 단상을 점거해 농성을 벌였다. 이들은 “낙동강 수질 개선을 위한 근복대책이 아니다”라고 반대했다. 환경단체 관계자는 “문재인 정부 국정과제로 낙동강 수문 개방, 보(洑)처리 방안을 약속하고도 현재까지 해결되지 않고 있다”며 “낙동강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외면한 채 오늘 내놓는 통합물관리 방안은 알맹이 없는 대책일 뿐이다”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환경부 장관이 명확한 입장 표명을 하기 전까진 보고회 개최를 막겠다고 버텼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장내질서 유지가 어렵다고 보고 이날 중간보고회를 취소했다. 환경부는 조만간 온라인 등 다른 방법으로 보고회 자리와 지역주민 여론 수렴 자리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