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쿠아시스는 바닷물을 식수로 바꿔줘 식수난를 구하기 어려운 제3세계 바닷가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UNIST 김차중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와 김영식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생활담수화와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아쿠아시스(Aquasis)’를 공동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해수전지 기술과 디자인 작업이 결합한 이 제품 디자인은 지난 3월 ‘독일 iF 디자인 어워드 2020’에서 ‘프로페셔널 콘셉트(Professional Concept)’ 부문 본상을 수상했다.

유니스트에 따르면 연구진은 바다에 인접해 있지만 만성적인 식수와 전력 부족에 시달리는 제3세계 국가의 아이들을 위해 제품 디자인을 진행했다. 오염된 식수로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을 위해 ‘라이프 스트로우(휴대용 정수 빨대·전기 충전이나 필터교환없이 오염된 물을 깨끗하게 해주는 빨대)’와 같은 제품이 제작돼 보급됐지만 바닷물의 경우엔 담수화가 어려워 식수 문제가 심각했다.

연구진은 해수전지의 담수화 기능에 주목해 문제 해결을 시도했다. 바닷물 속 나트륨 이온을 이용해 전기를 충전하는 해수전지는 충전 과정에서 바닷물을 담수화할 수 있다. 연구진은 조명 상단에 있는 태양광 패널로 해수전지를 충전해 조명을 위한 전기를 담고, 동시에 마실 수 있는 물을 만들 수 있도록 제품을 디자인했다.

iF디자인 어워드를 수상한 아쿠아리스

유니스트는 “이 제품은 바닷물을 담수화하는 만큼 살균된 깨끗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수인성(水因性) 질병에 취약한 어린이의 건강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또 아이들도 쉽게 바닷물을 담을 수 있는 크기와 무게로 디자인 되었으며, 아이들의 일상을 고려해 아침에 일어나 바닷물을 담아두면 오전에는 정수기로, 오후에는 생수통으로, 밤에는 조명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유니스트는 설명했다.

낮 시간동안 아쿠아시스에 바닷물을 담고, 상단부의 태양광을 이용해 전기를 충전함과 동시에 바닷물을 담수화할 수 있다. 약 4시간의 충전과정을 거치면 해수전지 충전과 담수화가 완료된다.
아쿠아시스 상단부는 전지와 조명으로 구성돼 있어 낮 시간 충전된 해수전지는 별도로 분리해 집 안에서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해수전지 원천기술을 보유한 김영식 교수팀과 제품 디자인의 김차중 교수팀은 1년여에 걸쳐 기술상용화를 위한 협업을 진행해 아쿠아시스를 탄생시켰다.
김차중 교수는 "디자인을 통해 UNIST가 가진 기술을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상용제품으로 만들어낸 사례로 의미가 깊다"고 설명했다. 김차중 ‧ 김영식 교수팀은 아쿠아시스를 상용화해 실제 제품으로 출시하는 것을 목표로 협력하고 있다.

iF 디자인 어워드는 세계적 권위를 자랑하는 디자인 수상기관인 독일 레드닷 어워드, 미국 IDEA와 함께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로 불린다. 올해 iF 디자인 어워드에는 전 세계 56개국에서 7000개 이상의 작품이 출품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