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클로를 자회사로 두고 있는 일본 최대 의류 업체 패스트리테일링의 창업자 야나이 타다시 회장이 일본이 한국에 반감을 갖게 된 것은 일본인이 열등해진 증거라는 취지로 말했다.

야나이 회장은 지난 9일 닛케이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일본이 한국에 대한 적대가 과한 수준에 이르렀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한국인이 반일(反日)인 것은 알고 있다. 하지만 일본인은 본래 냉정했지만 모두 히스테릭하게 변하고 있다"며 "일본 역시 열등해진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겉으로는 일본을 비판하고 있지만, 한국이 열등하기 때문에 반일 감정을 갖고 있다고 우회적으로 비판한 발언이다.

야나이 타다시 패스트리테일링 회장.

최근 한국 대법원의 일제 강제 징용 배상 판결과 양국간 경제 제재로 한일 관계가 악화되면서 일본 기업인 유니클로는 한국의 불매운동 기업의 주요 대상으로 떠올랐다.

야나이 회장은 전반적으로 일본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내놨다. 그는 일본이 30년 동안 거의 성장하지 않았으며, 국민 소득은 여전히 제자리 걸음이라고 말했다. 사물인터넷(IoT)나 인공지능(AI), 로보틱스 등 첨단과학 기술에 본격적으로 도전하는 기업이 없다는 점을 안타깝게 여겼다.

야나이 회장은 무엇보다 일본이 과거의 영광에 사로잡혀 ‘가마솥 안 개구리’처럼 물이 서서히 끓어오르는 것도 모르는 채 정체돼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서점에 가면 ‘일본이 최고다’ 라는 책밖에 없어서 나는 언제나 기분이 나빠진다"며 "‘일본이 최고였다’고 말하면 모를까, 지금 일본의 어디가 최고냐"고 반문했다.

그는 위기에 대해서 정부에 불만을 제기하지 못한 점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아베노믹스도 실패한 정책이라고 지적하며 "모두들 성공했다고 하지만 성공한 것은 주가뿐"이라고 말했다.

또 아베 총리가 추진하는 개헌에 대해서도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정상국가를 내세우면서 미국의 속국을 자처하는 굴욕적인 외교를 한다는 것이다. 그는 "현재 일본은 자립적으로 생각하지 못하고 미국의 그림자 속에서 살면서 스스로 자립적이라고 생각한다"며 헌법 개정보다는 일·미 지위협정을 개정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