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법무부 장관 일가족이 운영해온 사학재단 웅동학원이 수십억원대 비자금을 만들었고, 이 돈 가운데 일부가 '조국 펀드'로 유입됐다는 의혹에 대해 검찰이 수사 중인 것으로 23일 확인됐다. 검찰은 최근 웅동학원과 조 장관 일가(一家)의 계좌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이 같은 의혹을 뒷받침할 단서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의혹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재단 돈을 개인적으로 유용한 것이 돼 파장이 일 전망이다. 조 장관이 애초부터 펀드 투자에 개입했을 가능성도 커진다. 조 장관은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저는 아내가 펀드 한다고 해서 그런 줄만 알았다"면서 펀드 투자를 잘 몰랐다고 해왔다.

조 장관 아내 정경심씨가 2017년 7월 사모펀드에 투자한 돈(10억5000만원)과 펀드 운용사인 코링크PE에 투자한 돈(대출 2억원 포함 10억원)은 총 20억원에 달한다. 검찰은 동양대 교수였던 정씨가 이 돈을 마련하기 어려웠을 것으로 보고 자금 흐름을 추적한 끝에 웅동학원 자금과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수상한 자금 흐름을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웅동중학교는 조국 법무부 장관 집안이 소유한 학교법인 웅동학원 소유의 사립중학교다.

검찰은 특히 1995~1998년 사이 웅동학원이 학교 부지·건물을 담보로 동남은행에서 대출받은 35억원에 주목하고 있다. 당시 대출 명목은 학교 이전에 따른 신축 공사비였는데 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 불투명하다는 것이다. 검찰은 이 돈이 조 장관 일가의 비자금으로 쓰였는지 확인 중이다.

이와 관련, 조 장관의 5촌 조카인 조범동씨(구속)는 최근 검찰 조사에서 "(조 장관 아내) 정씨가 사모펀드 투자 운용 내역을 알고 있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링크PE의 실질적 대표였던 그는 그동안 정씨가 투자에 개입했다는 사실을 부인하다 최근 입장을 바꾼 것으로 알려졌다. 정씨가 투자 내용까지 알았다면 공직자와 그 가족의 직접 주식 투자를 금지한 공직자윤리법 위반 혐의가 적용될 수 있다. 또 조 장관도 이 혐의에서 자유로울 수 없게 된다.

검찰은 이런 의혹 등을 수사하기 위해 이날 서울 서초구 방배동 조 장관의 자택을 압수 수색했다. 현직 법무부 장관이 압수 수색을 당한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검찰은 또 조 장관의 아들과 딸의 입시 비리 수사를 위해 아주대·충북대 법학전문대학원과 연세대 대학원, 이화여대 입학처 등 4곳을 압수 수색했다. 아주대·충북대·연세대는 조 장관 아들이, 이화여대는 딸이 각각 입시를 치른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