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安倍晋三·사진) 일본 총리가 한·일 갈등과 관련해 "한국과의 문제는 시간을 들일 수밖에 없다"고 주위에 이야기했다고 마이니치신문이 4일 보도했다. 신문은 아베 총리가 이 같은 발언을 언제쯤 누구에게 했는지는 특정하지 않았다. 다만 아베 총리가 '대(對)한국 및 대중국 관계에서 부침을 겪고 있다'는 부연 설명만 달았다. 마이니치는 또 아베 총리가 올해 예정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나 한·중·일 3국 정상회의에서도 강제징용 배상 판결 문제 관련한 구체적 진전이 없을 경우 문재인 대통령과 회담에 응하지 않을 태세라고 전했다. 이 때문에 한·일 관계 경색 국면이 장기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일본 정부 고위 관계자는 마이니치에 "문재인 정권 동안에 한·일 관계 개선은 어렵다"며 "내버려둘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앞서 아베 총리는 지난 3일 가와무라 다케오(河村建夫) 일한의원연맹 간사장을 통해 '일본이 수출 규제 조치를 철회하면 한국도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를 재검토할 수 있다'는 이낙연 국무총리의 제안을 전달받고 "징용공 문제 해결이 최우선"이라며 사실상 거절했다고 일본 언론들이 보도했다.

고노, 해외언론에 장문 기고… 韓정부에 양국갈등 책임돌려

고노 다로(河野太郞) 일본 외무상은 이날 미 블룸버그통신에 5880자가 넘는 장문의 기고문을 통해 한·일 갈등 책임이 한국 정부에 있다고 주장했다. 외무상이 직접 외교 상대국을 비판하는 내용으로 해외 언론에 기고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일본이 국제사회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여론전에 나선 것이라는 평이 나온다.

고노 외무상은 '일본과 한국 사이 진짜 문제는 신뢰'라는 제목의 이 영문 기고문에서 강제징용 배상 판결 문제로 양국 관계가 악화했으며 이는 한국 측이 1965년 한·일 국교 정상화와 동시에 맺은 청구권 협정을 준수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기존 주장을 되풀이했다. 그는 한국이 협정의 합의를 일방적으로 폐기한 것이 양국이 직면한 문제의 핵심이라고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