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펀드'와 그 운용사인 코링크PE가 PNP컨소시엄과 손잡고 서울 지하철 공공 와이파이 사업권을 따낼 때 여권(與圈) 인사들이 관여했던 정황들이 계속 드러나고 있다. 이들은 공공 와이파이 사업체를 키운 뒤 우회 상장을 통해 대박을 터트리고 이를 매각해 빠져나오는 계획하에 움직였다는 증언도 있다.

공공 와이파이 확충 사업은 문재인 대통령과 박원순 서울시장 등이 선거 때 내세웠던 공약이다. 현 정부의 주요 추진 과제인 '스마트시티'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PNP컨소시엄이 와이파이 사업을 따내는 데에는 여당의 전직 보좌관 출신뿐 아니라 민주당 인사 K(79)씨도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링크와 조국 펀드가 인수한 가로등 점멸기 업체 웰스씨앤티는 2017년 PNP컨소시엄에 자금을 대기로 하면서 서울 지하철 와이파이 사업 수주에 뛰어들었다. 이 과정에서 K씨는 웰스씨앤티 고문으로 국회를 찾는 등 각종 민원 해결 역할을 맡은 것으로 전해졌다. K씨는 민주당 안보특별위원회 부위원장과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등을 지냈다.

앞서 자유한국당 유민봉 의원실이 입수한 웰스씨앤티 내부 문건에 따르면 이들은 서울시가 지하철 공공 와이파이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발표한 2016년 1월보다 두 달 전 관련 계획을 수립했다. 업계에선 "연 매출 20억원대 웰스씨앤티가 초대형 사업 수주 계획을 세우는 건 상식에 어긋난다"는 말이 나왔다. 지난해 서울시 의원들은 "'기간통신사업자' 면허도 없는 업체에 사업을 준 것은 특혜 아니냐"고 지적했다고 한다. 일부 보좌관 출신 인사는 PNP 지분도 갖고 있다.

또 지난 2016년 11월 PNP의 경쟁 업체인 S사가 먼저 사업권을 따냈지만, 서울시가 감사를 벌여 S사의 사업권을 박탈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야당에선 "서울시 감사와 재입찰 결정 과정이 석연찮다"는 얘기가 나왔다.

한편, PNP컨소시엄 대표인 서모(58)씨는 과거 사기·배임죄로 실형을 살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2006년 1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납품 사실이 확정되지 않았는데도 "22개 지방자치단체에 SJ텔레콤(현 웰스씨앤티)이 가로등 관련 제품 10만6000개를 납품하기로 했다"며 투자자 3명으로부터 8억3000만원을 받은 혐의로 2009년 기소됐다. 그는 2011년 징역 3년을 확정받았다.

서씨는 2014년 만기 출소 뒤 웰스씨앤티 부사장으로 일했다. PNP컨소시엄이 서울시 공공 와이파이 사업 계약을 따낸 뒤 업계에선 PNP 측에 와이파이 기술이 거의 없다는 소문이 파다했다고 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서씨가 '민주당 인사들과 인맥이 있어 사업을 따낼 수 있다'는 취지로 주변에 말하고 다녔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