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딸 조모(28)씨가 한영외고 2학년 때인 2008년 참가했던 단국대 의과대학의 ‘학부형 인턴십 프로그램’은 그해 한 차례만 운영된 것으로 확인됐다. 조씨는 당시 학부형이던 단국대 의대 A교수가 개인적으로 주관한 이 프로그램에 참가해 2주간 연구에 참여했고, 논문 제1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단국대 관계자는 20일 조선일보 디지털편집국과 통화에서 "해당 프로그램은 대학이 공식 운영하는 프로그램이 아닌 A교수가 개별적으로 인턴을 받아 운영한 것"이라며 "A교수는 조씨를 인턴으로 선발한 그해 전후로 인턴 프로그램을 운영한 적이 한 번도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당시 인턴십에 참가한 고등학생은 조 후보자 딸 외에도 외고 동급생 한 명이 더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동급생은 중도에 인턴십 프로그램을 그만둔 것으로 알려졌고, 논문에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조씨는 이후 한영외고를 졸업한 뒤 2010년 고려대 환경생태공학부를 거쳐 2015년 부산대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했다.
교육부는 2017년 12월부터 2007~2017년 발표 논문을 대상으로 두 차례 미성년자 논문 저자 여부 전수조사를 실시했다. 교수 자녀나 사회지도층 또는 부유층 자녀들이 인맥을 통해 논문 저자가 된 뒤 이를 입시 등에 활용한다는 의혹이 잇따랐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씨 사례는 조사에서 나오지 않았다. 교육부 조사 기준에 따르면 조씨는 고교 재학 시절인 2009년 학술지 논문의 제1저자로 등재됐기 때문에 교육부의 조사 리스트에 올랐어야 했다.
지난 5월 교육부가 발표한 중간조사 결과에 따르면, 56개 대학 255명의 대학교수들이 논문 410건에 미성년자를 공저자로 등재했다. 조씨 논문이 나온 단국대에서도 9건 확인됐으나 조씨 논문은 빠져 있었다. 당시 조 후보자는 청와대 민정수석이었다. 교육부 관계자는 "빠진 경위를 파악 중"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