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루히토(德仁) 일왕은 15일 종전(終戰) 74주년을 맞아 도쿄의 무도관(武道館)에서 열린 '전국 전몰자추도식'에서 "과거를 돌아보며 깊은 반성 위에서 두 번 다시 전쟁의 참화가 반복되지 않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5월 즉위 후 처음 맞은 종전 행사에서 "소중한 목숨을 잃은 수많은 사람과 유족을 생각하며 깊은 슬픔을 새롭게 느낀다"며 이같이 밝혔다. 나루히토 일왕은 이날 아버지인 아키히토(明仁) 전 일왕이 2015년부터 같은 행사에서 언급한 '깊은 반성'을 이어서 사용했다. 나루히토 일왕이 추도사를 "세계의 평화와 우리나라의 발전을 기원한다"며 마친 것도 지난해 아키히토 전 일왕의 발언과 유사한 것이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왼쪽)가 15일 태평양 전쟁 종전(終戰) 74주년을 맞아 도쿄의 무도관(武道館)에서 열린 '전국 전몰자 추도식'에서 추도사를 하러 가기 위해 자리에 앉아 있는 나루히토(德仁) 일왕(가운데) 부부를 지나치고 있다. 아베 총리는 이날 태평양 전쟁에 대한 반성이나 책임을 언급하지 않았다.

이에 비해 나루히토 일왕에 앞서 등단한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태평양 전쟁에 대한 '반성'이나 가해국으로서의 '책임'을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그는 태평양 전쟁을 일으킨 일제(日帝)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은 채 "대전(大戰)에서 300만여 명의 동포가 목숨을 잃었다"는 말로 추도사를 시작했다. 그는 전사자들과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서 원폭 투하로 숨진 사람들을 거론한 뒤, "우리는 역사의 교훈을 가슴에 새겨서 세계 평화와 번영을 위해 힘을 다해왔다"며 "전쟁의 참화를 두 번 다시 반복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또 "이 약속은 쇼와(昭和·히로히토 시대 연호), 헤이세이(平成·아키히토 시대 연호), 그리고 레이와(令和·나루히토 시대 연호) 시대에도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아베 총리는 2012년 두 번째로 총리가 된 후, 7년째 종전 기념행사에서 가해자로서의 반성과 책임을 거론하지 않았다.

아베 총리는 이날 태평양 전쟁의 A급 전범을 합사(合祀) 중인 야스쿠니(靖國)신사에 사비(私費)로 공물을 보내 참배의 뜻을 밝혔다. 아베 총리는 야스쿠니신사에 '다마구시(玉串·물푸레나무 가지에 백색 종이를 단 것)'로 불리는 공물을 7년 연속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