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靑·與, 한·일 갈등 총선까지 끌고 가려는 속셈…양정철 해임하라"
더불어민주당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이 지난 30일 일본의 수출 규제로 불거진 한일 갈등에 대해 내년 총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당내 의원들에게 배포해 논란이 일었다. 그러자 민주연구원은 31일 "부적절한 내용이 배포됐다"며 "한일 갈등을 선거와 연결 짓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민주연구원을 이끄는 양정철 원장은 문재인 대통령의 핵심 측근이다.
민주연구원이 전날 당 소속 의원 128명 전원에게 배포한 '한·일 갈등에 관한 여론 동향' 보고서에는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지난 26~27일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및 분석 내용이 담겼다. 보고서는 여론조사 결과를 인용하며 "일본의 무리한 수출규제로 야기된 한일 갈등에 대한 각 당의 대응이 총선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의견이 많고, 원칙적인 대응을 선호하는 의견이 많다"며 "총선 영향은 (민주당에) 긍정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자유한국당에 대한 '친일 비판'은 지지층 결집 효과는 있지만 지지층 확대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며 "'친일' 비판 공감도는 공감 49.9%, 비공감 43.9%이며, 상대적으로 공감이 적은 것은 정책적 문제가 아니라 '정쟁' 프레임에 대한 반감으로 판단된다"고 했다.
보고서는 "우리 당 지지층에선 압도적으로 친일 비판에 공감"이라며 "스윙층(상황에 따라 정치적 지지가 바뀌는 집단)인 50대(47.5%), 중도(53.4%)에서 상대적으로 공감이 많지만, 무당층(36.3%)에선 적다"고 밝혔다. 일본의 화이트리스트(수출 심사 우대국) 배제 대응으로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을 폐기하는 것에 대해서는 "한국당 지지층만 제외하고 모든 계층에서 찬성이 높게 나타난다"고 했다.
이 같은 보고서 내용이 언론 보도를 통해 알려지자, 정치권에선 여당이 한일 갈등을 내년 총선에 이용하려는 속내가 드러났다는 비판이 나왔다.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이 보고서를 언급하며 "국민은 한일 경제전쟁이 생업에 어떻게 불똥이 튈지 전전긍긍하고 있는 마당에, 청와대와 민주당은 이 사태를 내년 총선까지 끌고 가려는 속셈을 내비친 것인가"라며 "민주당의 공식 사과가 필요하고, 양 원장을 즉각 해임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당 전희경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경제를 살리는 복안, 시급한 외교적 해법을 두고 치열하게 고민해도 부족할 판에 여론을 총선에 써먹을 궁리만 했다는 것이 보고서의 요체"라며 "그래서 대통령, 청와대, 민주당이 합작해 반일(反日)을 조장하고, 이순신이니 죽창이니 의병이니 했던 것인가"라고 했다.
보고서 내용이 논란이 되자 민주연구원은 이날 출입기자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를 통해 "전날 당내 의원들에게 발송한 한일 갈등 관련 여론조사 보고서는 적절치 못한 내용이 적절치 못하게 배포됐다"며 "충분한 내부 검토 절차를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부적절한 내용이 나갔다. 관련자들에게 엄중한 주의와 경고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이어 "당이나 연구원의 공식 입장이 아닌 조사 및 분석보고서가 오해를 초래하지 않도록 보다 신중을 기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