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국방부는 24일 자국 군용기가 전날 독도 영공을 침범한 데 대해 "영공을 침범하지 않았고 오히려 한국 측이 안전을 위협했다"고 억지 주장을 폈다. 한발 더 나아가 "한국 공군의 유사한 비행이 반복되면 대응할 수 있다"고 위협했다.

러시아와 함께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을 수차례 무단 진입한 중국도 "카디즈는 영공이 아니며 자유롭게 비행할 수 있다"고 했다. 사죄나 유감 표명 한마디 없이 우리 정부를 비판하는 적반하장의 태도를 보인 것이다.

러시아 국방부는 또 "(이번 비행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러·중의 첫 번째 연합 공군 초계비행"이라면서 러·중의 포괄적 파트너십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했다. 러·중이 준(準)군사동맹으로 손잡고 동해와 독도에서 추가 도발을 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럴 경우 동해가 구한말 때처럼 한·중·일·러가 각축을 벌이는 '분쟁의 바다'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하지만 청와대는 이날 성급하게 '러시아가 잘못을 시인했다'고 브리핑을 했다가 뒤통수를 맞았다.

국방부는 이날 오후 러시아 측에서 '한국군 조종사들이 자국 군용기의 비행 항로를 방해하고 안전을 위협하는 비전문적인 비행을 했다'는 공식 전문을 받았다. 앞서 청와대 윤도한 국민소통수석은 "러시아 측이 차석 무관을 통해 '기기 오작동으로 계획되지 않은 지역에 진입했다. 의도를 갖고 침범한 것은 아니다. 즉각 조사에 착수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하겠다'고 해명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불과 몇 시간 만에 러시아 정부가 이와 완전히 상반된 입장을 밝힌 것이다. 러시아 국방장관은 전날 성명에서 '영공을 침범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밝혔고, 러시아 항공우주군 사령관도 "한국 조종사들의 행동은 '공중 난동행위'"라고 주장했는데, 이를 간과한 것이다.

정치권에선 청와대가 러시아 측의 '비공식 설명'만 앞세워 의도적으로 사안을 축소하려 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윤도한 수석은 "(전날 국방장관 성명이) 공식 입장이 아니라 러시아 차석 무관의 해명이 공식 입장이라고 판단했다"고 해명했다. 국방부도 이날 일본이 독도를 자국 영토라고 주장한 데 대해 "일고의 가치도 없다"고 반박했지만, 중·러의 도발에 대해선 한마디 항의나 비판도 하지 않았다. 그러다 뒤늦게 "(러시아 주장은) 사실 왜곡일 뿐만 아니라 어제 외교 경로를 통해 밝힌 유감 표명과 재발 방지 입장과 배치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