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5당 대표는 18일 오후 청와대에서 회동을 갖고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에 대한 대책 등을 논의했다.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와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는 "정부가 한·일 정상회담 개최와 대일(對日) 특사 파견을 통해 일본 보복 문제를 외교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나 문 대통령은 "특사와 고위급 회담은 해법이 되면 언제든 가능하다"며 "그러나 무조건 보낸다고 되는 건 아니다. (양국 간) 협상 끝에 해결 방법으로 논의돼야 할 것"이라고 했다.
야당 대표들은 또 정부의 소득 주도 성장 기조를 수정하라고 요구했지만, 문 대통령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처리해 달라고 했다. 여야는 합의문 대신 낸 '공동 언론 발표문'에서 ▲일본 정부에 경제 보복 철회와 외교적 해결을 촉구하고 ▲우리 정부에도 다양하고 적극적인 외교적 노력을 촉구했다. 이어 ▲초당적 협력을 통해 비상협력기구를 설치하고 ▲정부·여야가 소통·통합을 위해 노력한다는 데 합의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모두 발언에서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일은 일본의 수출 제한 조치에 대해 당장 우리가 어떻게 대응할 것이며 주력 제조 산업에서 핵심 소재 부품들의 지나친 일본 의존을 어떻게 줄여나갈 것인지 함께 지혜를 모아 나가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대일 의존도를 낮추고 기술 자립을 해야 한다고 했다.
야 4당 대표들은 모두 '대일 특사' 파견을 언급했다. 황 대표는 "대일 특사를 서둘러야 한다. 대통령이 어렵더라도 톱다운 방식으로 해야 한다"고 했다. 손 대표도 "일본에 이낙연 국무총리 등 전문성과 권위 있는 특사를 보내 현안 해결의 물꼬를 터 달라"고 했다. 두 대표는 문 대통령이 한·일 정상회담을 개최해 직접 외교적 해결에 나서달라고 했다. 하지만 문 대통령은 "피해자들의 동의와 국민 공감대가 기본"이라고 했다.
황 대표는 "경제 현장에서 정부의 소득 주도 성장 정책에 대해 많은 부작용을 우려하고 있다"며 "자영업자·중소기업 등 많은 사람이 경제정책 전환을 요구한다"고 했다. 손 대표도 "예산으로 일자리를 만든다는 생각은 버려달라"고 했다. 그러나 문 대통령은 "추경이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협력을 해달라"고 했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일본 경제 보복 조치와 관련, "7월 31일 또는 8월 1일에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수출 절차를 간소화하는 우방 명단)에서 배제하는 발표를 하게 될 것으로 예측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