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스틸웰 신임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17일 한·일 문제에 대해 "기본적으로 한국과 일본은 이 민감한 이슈를 해결해야 하며 해법을 곧 찾기를 희망한다"며 "미국은 가까운 친구이자 동맹으로서 한·일의 해결 노력을 지원할 일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스틸웰 차관보는 이날 강경화 외교부 장관, 김현종 청와대 안보실 2차장 등 정부 당국자들을 만난 뒤 "미국은 한국과 일본 관계를 강화하는 데 매우 큰 비중을 두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일 문제에서 미국이 역할을 하겠지만 한·일이 먼저 나서서 해결책을 찾으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韓日 갈등에 미국의 입장은 - 데이비드 스틸웰(가운데) 신임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차관보가 17일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 등 정부 당국자들과 만난 뒤 윤순구(오른쪽) 외교부 차관보와 함께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스틸웰 차관보는 한·일 문제에 대해 “진실은 한·일 간의 협력 없이는 어떤 중요한 이슈도 해결될 수 없다는 것”이라고 했다.

스틸웰 차관보는 '미국이 한·일 갈등에 관여할 생각이냐'는 질문에 "동맹이기 때문에 우리는 한국 및 미국과 관련된 모든 이슈에 관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진실은 한·일 간의 협력 없이는 어떤 중요한 이슈도 해결될 수 없다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호르무즈해협 호위와 관련해 한국의 도움이 필요하냐'는 질문에 "오늘 오후 만남에서 알아볼 것"이라며 "동맹과 관련된 이슈를 많이 논의했다"고 했다. 이와 관련, 외교 당국자는 "중동 정세에 대한 언급은 있었지만 구체적인 (파병) 요청은 없었다"고 했다.

한편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날 외신 기자회견에서 자유무역을 옹호했던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과거 발언을 인용하며 "일본은 약속을 반드시 지킬 것으로 믿는다. 규제 조치를 즉각 철회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이 요구하는 징용 판결 문제 논의를 위한 제3국 중재위 구성 요청에 대해 "시간도 오래 걸리고 미래지향적 관계에도 좋지 않다"며 "일본이 대화에 나오면 모든 옵션을 대화 테이블 위에 놓고 이야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새 일왕(나루히토)도 그의 아버지(아키히토)처럼 지역의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길 바란다"며 "중재위 구성은 최선의 해법이 아니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