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의 대한(對韓) 수출 규제 조치가 ‘타당하다’고 생각하는 일본인이 6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베 신조 내각에 대한 지지도와 비슷한 수준이다. ‘안보 문제’를 수출 규제 배경으로 내세우고 있는 아베 정권의 여론몰이가 힘을 얻는 모양새다.

일본 TBS방송에 따르면, 계열사인 JNN이 지난 6~7일 18세 이상 성인 231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일본 정부가 최근 한국을 대상으로 시행한 반도체 핵심 소재의 수출 규제 조치에 대해 ‘타당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58%로 나타났다. 반면 규제 강화가 ‘타당하지 않다’고 답한 비율은 24%로 집계됐다. 두 배 이상 많은 응답자가 규제의 타당성을 인정한 것이다.

참의원 선거 유세에 나선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7일 도쿄 거리에서 연설하고 있다.

‘타당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아베 정부에 대한 지지율과 거의 일치하는 것도 흥미로운 대목이다. 이번 여론 조사에서 아베 내각 지지율은 58.7%를 기록했다. 지난달 대비 0.4%p 낮아진 것이다. 아베 내각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답한 응답자는 지난달과 같은 수준인 36.9%로 집계됐다.

앞서 일본 정부는 지난 4일 반도체 3대 핵심 소재인 에칭가스(고순도 불화수소),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감광제 리지스트에 대한 대한국 수출 규제를 강화했다.

한국 정부는 이번 조치가 한국의 강제징용 배상 요구에 대한 보복으로 보고 있다. 일본 정부가 이번 조치와 관련, 1965년 양국이 체결한 한일청구권협정을 어겼다는 주장을 펼쳐왔기 때문이다. 일본 내부에서도 이에 대한 비판 여론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아베 정부는 이를 부인하고 있다. 오히려 한국 정부의 대북 제재 위반 의혹 등 ‘북한·안보 문제’를 언급하며 규제 조치의 타당성을 피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