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가 오는 8월 연합 연습을 실시해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을 행사할 능력을 갖췄는지 검증·평가할 것으로 28일 알려졌다. 이번 훈련 지휘와 평가는 한국군 대장이 처음으로 주관할 것으로 보인다.

군 관계자는 "을지프리덤가디언(UFG) 폐지 이후 대체 훈련으로 오는 8월 말 한·미 연합 훈련이 열릴 것"이라며 "전작권 전환을 위한 첫 평가인 만큼 평가의 엄밀성을 위해 한국군 대장이 주관하는 방안이 유력하다"고 했다. 이 첫 관문을 통과해야만 전작권 전환 일정이 순조롭게 이행될 것이라고 군 관계자들은 설명했다. 첫 평가에서 한국군의 능력이 증명되지 못하면 현 정부가 추진 중인 2022년 조기 전작권 전환 일정은 늦춰질 수 있다.

전작권이 한국군으로 전환되면 한국군 대장이 연합군사령관을 맡고, 미군 대장인 주한미군사령관이 부사령관을 맡는 '미래연합사령부' 체제로 바뀌게 된다. 다만 이번 훈련을 주관할 한국군 대장은 결정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미래연합사령관을 합참의장 또는 지상작전사령관이 겸직하는 방안과 아예 별개의 대장 직위를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와 관련, 로버트 에이브럼스 한미연합사령관은 지난 22~25일 미 하와이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 지상군 심포지엄에 참석해 "8월에 연합사령관을 대신해 한국군 대장이 주관해 가상의 위기 상황과 만일의 사태에 대응한 연합 위기관리 능력을 평가할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에이브럼스 사령관의 이와 같은 발언이 오는 8월 연합 훈련이 한국군 대장 주관으로 시행될 것임을 뜻한다고 했다.

이번 검증 평가에는 한미연합군사령부를 대신하는 미래연합군사령부의 편성과 운용 적절성 등도 포함될 것으로 전해졌다. 국방부는 작년 12월 문재인 대통령에게 '2019년 국방부 업무 계획'을 보고하면서 "전군의 노력을 집중해 최초 작전 운용 능력 검증 평가 준비를 철저히 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