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에 불법 수출된 폐기물 5100t 반송을 위한 정부 대응이 지연되고 미온적이라 양국 관계가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필리핀 정부는 지난 3월 "폐기물 반송 협의를 위한 대표단을 파견하라"고 요청했지만 환경부는 아직도 대표단을 보내지 않았다. 환경부는 27일 "조만간 환경부 소속 공무원을 보내기 위해 필리핀 정부와 협의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양국 간 불법 폐기물 문제는 우리나라 업체가 6000여t을 수출한 것이 확인되면서 지난해부터 문제가 됐다. 그린피스 등 환경단체와 현지 시민단체가 항의하면서 정부는 지난 3월 초 필리핀 항구에 컨테이너째 보관 중이던 1200t을 국내로 가져 왔지만 여전히 5100t이 필리핀에 남아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반송 대상 폐기물이 컨테이너에서 하역돼 현지 수입업체 부지에 보관 중이어서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라고 했다.
정부 대응은 늦어지고 있는데 불법 폐기물 수출에 대한 필리핀 정부의 대응은 갈수록 강경해지고 있다. 캐나다와는 외교 마찰로 번졌다. 필리핀 스타 등 현지 언론은 26일(현지 시각) "필리핀 정부가 공무원의 캐나다 방문을 금지했다"고 보도했다. 5~6년 전 필리핀에 밀수출한 폐기물 쓰레기를 다시 가져가지 않고 있는 캐나다에 대한 항의성 조치다. 필리핀 정부는 지난 15일 캐나다 주재 대사와 영사들을 전격 소환하기도 했다. 앞서 지난 6일에는 폐기물 수입을 전면 중단키로 했다.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은 "필리핀은 쓰레기 처리장이 아니다"라며 필리핀에 불법 쓰레기를 보낸 대표적인 국가로 캐나다를 지목해 "쓰레기 전쟁을 선포하겠다"고 했다.
필리핀 정부는 지난 3월 세계 각국에서 들어온 쓰레기로 몸살을 앓았던 관광지 보라카이섬을 6개월간 폐쇄하는 등 폐기물 문제 해결을 위해 강력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4월 세계 최대 폐기물 수입국이던 중국이 수입을 전면 금지하면서 국내 폐기물은 필리핀 등 동남아로 불법 수출되거나 120만t 정도가 국내 야산 등에 방치돼 있어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