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2일 "이제 적폐 수사 그만하고 통합으로 나가자는 말씀도 많이 듣는다"면서 "살아 움직이는 수사에 대해 정부가 통제할 수도 없고 통제해서도 안 된다는 것이 제 생각"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이홍구 전 총리, 이종찬 우당장학회 이사장 등 사회 원로 초청 간담회에서 "빨리 진상 규명과 청산이 이뤄진 다음, 그 성찰 위에서 얼마든지 협치하고 타협도 할 수 있다"고 했다. 집권 후 2년간 진행된 '적폐 청산'을 당장 중단할 계획이 없으며, 정치적 통합과 협치에 앞서 적폐 청산이 우선이라는 점을 명확히 한 것으로 해석된다.
문 대통령은 "국정 농단, 사법 농단이 사실이라면 아주 심각하게 반(反)헌법적이기 때문에 그 부분은 타협하기 쉽지 않다"며 "국정 농단, 사법 농단을 바라보는 기본적 시각이 다르니까 어려움이 많은 것 같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또 "종북 좌파라는 말이 어느 개인에 대해 위협적인 말이 되지 않고, 생각이 다른 정파에 대해 위협적 프레임(틀·frame)이 되지 않는 세상만 돼도 우리나라가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될 것"이라고 말했다. 종북 좌파라는 공격이 더 이상 통하지 않는 상황을 만들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문 대통령은 또 "진보·보수의 낡은 프레임을 없애는 데 혼신의 힘을 다하고 있지만, 아직 안심할 단계는 아니다"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한·일 관계 개선 요구에 대해 "우리 안보, 경제, 미래 발전 등 모든 것을 위해서라도 일본하고 좋은 관계를 맺어야 하지만 과거 역사에서 파생된 문제들 때문에 한·일 관계가 불편해지는 것이 사실"이라며 "요즘 일본이 그런 문제(역사)를 자꾸 국내 정치에 이용하면서 문제를 증폭시키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 내각에 대해 '한·일 관계를 정치적으로 이용한다'고 직격탄을 날린 것이다.
문 대통령은 여야의 극한 대립 등 정치 현안과 관련해 "대통령이 협치 노력을 해야 한다는 말씀을 많이 듣는다"며 "당연히 노력을 해 나가겠다. 과거 어느 정부보다 야당 대표들을 자주 만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