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뉴스와 여론조작 등을 빌미로 인터넷 검열을 강화하고 있는 중국 정부의 보조에 맞춰 베이징시 정보당국이 유해 계정이라는 이유로 개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계정 11만개를 폐쇄했다.
26일 중국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는 베이징시 정보당국이 인터넷 환경을 정화하기 위해 유해 소셜미디어 계정 11만개를 폐쇄하고, 49만6000개에 달하는 게시글도 삭제했다고 전했다.
베이징시 정보당국은 25일 성명을 내고 "지난 18일 시나 웨이보, 바이두 등 소셜미디어 회사들과 콘텐츠 감시 매커니즘 등을 통해 SNS 계정 관리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어 정보당국은 폐쇄된 계정은 국가정책 왜곡, 허위정보 유포, 공공질서 문란 등 8개 이유 중 하나에 해당됐다고 밝혔다. 계정의 소유자는 밝히지 않았다.
중국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대한 대대적 단속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중국 국가인터넷판공실은 지난달에도 가짜뉴스 전파 및 여론조작 등을 이유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계정 9800개를 폐쇄한 바 있다. 국가인터넷판공실은 당시 "일부 1인 미디어들이 정치적으로 해로운 뉴스를 전파하고 악의적으로 당과 나라의 역사를 왜곡했으며 영웅적 인물을 비방하고 국가이미지를 훼손했다"고 폐쇄 이유를 설명했다.
이같은 조치는 중국 국가인터넷판공실이 지난 10월부터 가짜뉴스 단속 등을 이유로 인터넷 정화 운동을 펼친 데 따른 것이다. 지난달부터는 인터넷 검열 정책도 강화해 실시하고 있다. 새롭게 정비된 중국의 ‘인터넷 안전감독·검사규정’에 따르면 중국 공안은 ‘안전상 문제’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인터넷 기업과 사용자 전산센터, 영업장소, 사무공간에 대해 임의조사가 가능하고, 책임자에 대한 행정·형사 처벌도 가능하다.
정부의 소셜미디어 검열 강화 분위기에 주요 플랫폼들도 자체 단속과 검열에 나서고 있다. 시나 웨이보는 지난달 성명을 내고 유해 정보나 포르노물을 퍼뜨린 개인계정 리스트를 공개하기도 했다. 텐센트의 위챗 역시 자체 검열을 강화하고 해로운 정치정보나 가짜뉴스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의 인터넷 여론 통제는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중국전매대학 왕시신 교수는 글로벌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베이징의 움직임은 중국 내에서 소셜 미디어 관리 노력이 강화되고, 인터넷 정화 운동이 확고히 자리잡을 것을 시사한다"면서 "많은 지방정부가 베이징을 뒤따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