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13일 대통령 전용기가 ‘북한을 방문했던 비행기는 6개월 동안 미국을 방문할 수 없어 미국의 대북 제재 적용을 받고 있다’는 보도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 미국의 허가를 받고 뉴욕에 갔다는 것은 사실 무근"이라고 밝혔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전 춘추관 브리핑에서 이같이 말하며 "이 문제와 관련해 미국이 예외 절차를 요구한 적이 없고, 따라서 우리 정부가 미국쪽에 대북 제재 면제를 신청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28일 오후(현지시각) 체코 프라하 힐튼 호텔에서 재체코 동포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김 대변인은 "(아르헨티나 방문시 경유지를) 체코로 정한 것은 (대북) 제재 문제와 무관하다"며 "급유 문제 등 경유지에서의 지원 등 기술적 측면을 고려했고, 체코를 경유하면서 양자 정상외교의 성과를 거두려고 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표단의 시차 적응 문제도 고려했다"고 했다.

그는 "시차 문제는 비행 전문가들에게 물어보라. 52시간 비행기를 타는데 인간의 생체리듬과 기류의 문제 등으로 해서 (미국을 경유하는 방향인 동쪽으로 가는 것보다, 유럽을 경유하는 방향인) 서쪽으로 가는게 훨씬 시차 적응에 유리하다"며 "그래서 서쪽으로 가는 것으로 처음부터 결정이 된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몇가지 후보지들이 나왔는데 꼭 체코로 가야된다기보다는 다른 이유로 다른 도시들이 제외된 것"이라며 "스페인과 네덜란드, 헝가리와 스웨덴 등이 대상이었는데 스페인은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G20을 가면서 스페인을 (국빈 방문으로) 들러 제외가 됐고 네덜란드, 스웨덴, 헝가리는 내년에 공식 방문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 로스앤젤레스(LA) 방문 문제에 대해서는 "지난해 미국 워싱턴과 뉴욕에서 동포간담회를 열었을 때 워싱턴, 뉴욕 지역 교민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미국 전 지역 동포를 대상으로 한 간담회였다"며 "내년에도 LA를 들를 기회가 많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이 문제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고 거듭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오보가 되풀이되는데 대해 대단히 강력한 유감"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정보도 등의 조치계획이 있나'는 물음에는 "정정보도를 하자면 하루에도 몇 건씩 매일 해야될 것 같아서 고민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대통령 전용기는 미국의 대북 제재 대상이 아닌가’라는 물음에는 "미국 국내법에 적용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우리 정부보다는 미국 정부에서 대사관을 통해서 확실하게 답변을 듣길 바란다"고 즉답을 피했다.

그는 ‘문 대통령이 평양에 가기 전에 미국과 (대북 제재 예외 문제를 두고) 협의한 것이 있냐’는 물음에는 "전반적, 포괄적으로 긴밀하게 논의했던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