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 미·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사진> 대통령은 중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2670억달러어치의 중국산 수입품에 10~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27일(현지 시각) 밝혔다. 또한 2000억달러어치의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되는 관세율을 10%에서 25%로 올리는 기존 계획에 대해서는 철회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유일한 합의는 중국이 자국의 시장을 개방하고 미국과 경쟁하는 것"이라면서 이 같이 밝혔다. 중국이 미국에 양보안을 제시하며 유화 제스처를 취하는 가운데, 중국 측으로부터 실질적인 양보를 끌어내지 못하면 강경한 태도를 고수할 것이라는 점을 재차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인터뷰에서도 "중국은 근본적으로 우리를 공정하게 대우하지 않았다"며 "중국은 우리를 공정하게 대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만약 합의를 이루지 못한다면 나머지 267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10% 또는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관세율 인상을 보류해달라는) 중국 측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을 듯하다"고 했다.
새 관세 부과 계획과 관련,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서 생산된 애플 아이폰 또는 랩톱 컴퓨터 등에도 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고 예고하면서 "10% 관세를 매길 수 있다. 사람들이 그 정도는 쉽게 견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 타결 가능성은 열어놨다. 그는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별도의 기자회견에서 양국 정상 간 무역합의 가능성을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그럴 수 있다고 본다. 우리는 좋은 관계를 맺고 있다"고 했다.
다음 달 열리는 정상회담에는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 로스 장관, 라이트하이저 대표, 래리 커들로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 등이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할 전망이다. 중국에서는 류허 부총리, 딩쉐샹 공산당 중앙판공청 주임, 양제츠 외교 담당 정치국원 등이 배석자로 거론된다.